2021. 3. 3. 21:56ㆍ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아총(鸦葱)
멱쇠채/아총(鸦葱)
멱쇠채
이명 : [좀쇠채] [누은쇠채] [애기쇠채] [미역쇠채] [눈쇠채]
학명 : Scorzonera austriaca subsp. glabra (Rupr.) Lipsch. & Krasch. ex Lipsch.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コバラモンジン(Ko-baramonjin)
잎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퍼지며 총상 피침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르고 길이 12-35cm, 나비 5-30mm로서 밀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열매
수과는 선형이며 길이 13mm, 지름 1mm 정도로서 백색이고 관모는 길이 18mm정도이며 연한 갈색이다.
꽃
화경(花莖)은 높이 6-12cm에서 20-25cm로 자란다. 꽃은 5-6월에 피고 1개의 화경이 나와서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리며 포는 선상피침형이고 길이 4-7.5cm, 나비 4-6mm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길이 10-17mm로 되며 밑부분이 화경을 얼싸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이 필 때의 총포는 길이 23-26mm, 나비 9-16mm이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난형이며 길이 7-8mm, 나비 4-6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백색 털이 있다. 가장자리의 설상화는 길이 29-31mm, 나비 2.5mm이며 통부는 길이 14-15mm로서 털이 있다.
뿌리
굵은 뿌리가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 몽골, 러시아, 유럽 / 한국(전역)
형태
다년초.
크기
화경(花莖)은 높이 6-12cm에서 20-25cm로 자란다.
희귀, 특산식물 정보
[취약종]
평가내용:취약종 / 국가단위
생육 환경
▶양지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연한 화경을 생으로 먹고 어린순은 나물로 한다.
▶根(근)을 鴉蔥(아총)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과 가을에 채취한다.
②성분 : 고무, inulin, choline을 함유한다.
③약효 : 消腫(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다. 오노칠상, 정창옹종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으깨서 바른다.
보호방안
섬지방 및 해안 산지에 드물게 자란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학명 Scorzonera austriaca subsp. glabra (Rupr.) Lipsch. & Krasch. ex Lipsch.
Frag. Mongr. Gen. Scorz.: 121
1. Scorzonera austriaca var. longifolia Debeaux
Fl. Tche-fou: 227 (1876)
2. Scorzonera austrica (Willd.) Ledeb.
Fl. ross. 2: 792 quoad pl. ex Dahuria. (1846)
3. Scorzonera austrica var. glabra Rupr.
Fl. Bor.-Ural.: 12 & 40 (1856)
4. Scorzonera glabra Rupr.
Fl. Samojed. Cisural.: 11 (in textu) (1845)
5. Scorzonera radiata (Fisch.) Y.Yabe
Enum. pl. S. Manch.: 140 (1912)
6. Scorzonera ruprechtiana Lipsch. & Krasch.
Frag. Mongr. Gen. Scorz.: 121 (1935)
7. Scorzonera ruprechtiana Shed. ex Lipsch.
국명 멱쇠채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1. 누은쇠채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눈쇠채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3. 미역쇠채
1)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안학수, 이춘녕, 박수현, 1982)
4. 애기쇠채
5. 좀쇠채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북한명
외국명 영문명
일본명
コバラモンジン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아총(鸦葱)
Scorzonera austriaca Balb.
이명(异名)
Scorzonera ruprechtiana Lipsch. et Krasch.
Scorzonera austriaca var. typica Trautv. ex Kom.
Scorzonera sinensis f. plantaginifolia (Kitag.) Nakai
Scorzonera austriaca var. plantaginifolia Kitag.
Scorzonera austriaca Balb.
Misc. Alt. 24.
24 0
Scorzonera austriaca Willd.
Sp. Pl., ed. 4 [Willdenow] 3(3): 1498. 1803 [Apr-Dec 1803]
3(3): 1498 1803
Original Data:
Notes: Europ.; As. bor
^^^^^^^^^^^^^^^^^^^^^^^^^^^^^^^^^^^^^^^^^^^^^^^^^^^^^^^^^^^^^^^^^^^^^^^^^^^
아총(鸦葱)
【出处】 《救荒本草》
별명(別名)
土参、黄花地丁(《南京民间药草》),人头发、老鹤咀子(《江苏药材志》)。
래원(來源)
为菊科植物罗罗葱、鸦葱等的根。夏、秋采挖。
원형태(原形态)
①罗罗葱
多年生草本,高15~30厘米,无毛。具圆锥形块状根,根颈部密被枯叶残留的纤维状维管束。基部叶丛生,披针形或线状披针形,长12~30厘米,宽6~20毫米,先端渐尖,基部窄狭成柄,全缘或边缘略呈微波状,无毛,具脉3~5条;叶柄基部边缘稍扩大成鞘。花茎单一,具鳞片状叶数枚,或具小而无柄的茎生叶;头状花序大形,单生于茎顶;总苞片多层,长2.5~3厘米,外层苞片三角状卵形至长三角状披针形,内层苞片披针形,边缘薄膜质,无毛;花托平坦;花全部舌状,黄色,两性,舌片窄披针形先端平截,有5齿;雄蕊5;雌蕊1,柱头2歧。瘦果无毛或有微毛,长筒形;冠毛白色,具羽状锯齿。花期4~5月。
生山坡草地。分布华北、华东各地。
②鸦葱
形态与上种近似,叶长圆形至披针形,边缘通常波状弯曲。头状花序总苞片5列。
分布东北、西北、华北等地。
同属植物蒙古鸦葱,分布内蒙古、陕西、宁夏等地。亦同等入药。
성상(性狀)
干燥根呈长圆柱形,长可达20厘米以上,直径6~10毫米;表面棕黑色,有纵横皱纹,上部具密集的横皱纹,根头部残留众多棕色毛须(叶基纤维束与维管束)。质较疏松,断面黄白色。气微,味微苦涩。
화학성분(化学成分)
含橡胶、菊糖、胆碱。
성미(性味)
①《江苏药材志》:"味微苦涩。"
②《宁夏中草药手册》:"微苦,寒。"
공능주치(功能主治)
《江苏药材志》:"消肿解毒。治五痨七伤,疔疮痈肿。"
용법용량(用法用量)
内服:煎汤,3~5钱。
外用:捣烂敷。
부방(附方)
治疗疮及妇女乳房肿胀:鸦葱根打烂敷,(《南京民间药草》)
【적록】 《중약사전(中藥辞典)》
^^^^^^^^^^^^^^^^^^^^^^^^^^^^^^^^^^^^^^^^^^^^^^^^^^^^^^^^^^^^^^^^^^^^^^^^^^^
아총(鸦葱)
1.Scorzonera ruprechtiana Lipsch. Et Krasch. [Scoraonera austriaca Willd.; S.austriaca Willd. Subsp.glabra Lipsch. Et Krasch.]
2.Soorzonera mongolica Maxim.
3.Scorzonera diuaricata Turcz.
별명(別名)
鸦葱、土参、黄花地丁、人关发、老鹤咀子、谷罗葱、兔儿奶、笔管草、老观笔
영문명(英文名)
root of Austrian serpentroot
귀경(歸經)
심경(心經)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鸦葱根含橡胶,菊糖(inulin),胆碱(cho-line)。叶含镍(Ni)、铬(Cr)、钴(Co)、钙(Ca)、镁(Mg)、铁(Fe)等微量元素。
공효(功效)
소종해독(消腫解毒)
고증(考證)
出自《구황본초》
주치(主治)
오로칠상(五劳七伤);정창옹종(疔瘡癰腫)
각가논술(各家論術)
《江苏药材志》:消肿解毒,治五痨七伤,疔疮痈肿。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夏、秋季采收,洗净,鲜用或晒干。
선방(選方)
治疔疮及妇女乳房肿胀:鸦葱根打烂敷。(《南京民间药草》)
공효분류(功效分類)
소종약(消腫藥);지통약(止痛藥)
성미(性味)
微苦涩;寒
약재기원(藥材基源)
为菊科植物鸦葱、蒙胧古鸦葱、叉枝鸦葱的根或全草。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3-5钱。
외용:捣烂敷。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본초 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산우방(臭山牛蒡) (0) | 2021.03.03 |
---|---|
선모삼(仙茅参) (0) | 2021.03.03 |
모련채(毛連菜) (0) | 2021.03.03 |
구설초(狗舌草) (0) | 2021.03.03 |
화융초(火絨草) (0) | 2021.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