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2. 31. 22:15ㆍ[동의보감]/탕액편(湯液編)
희렴(豨莶)[동의보감]
털진득찰/희렴(豨莶)
털진득찰
학명:Sigesbeckia pubescens (Makino) Makino
분류군: Compositae(국화과)
일어: メナモミ
영명: Glandularstalk St. Pauls-wort
잎
잎은 대생하며 중앙부의 잎은 난형 또는 난상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절저,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7.5-19cm, 나비 6.5-18cm로서 양면, 특히 뒷면 맥 위에 털이 밀생하며 기부에 3개의 큰 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6-120cm로서 윗부분이 엽신으로 흘러 날개처럼 된다.
열매
수과는 도란형이고 약간 굽으며 4개의 능각이 있고 길이 2.5-3.5mm로서 털이 없으며 외포편에 싸여 있다.
꽃
꽃은 8-9월에 피며 황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려서 전체가 산방상으로 되며 화경은 길이 15~35mm로서 대가 있는 선모가 밀생한다. 총포편은 5개이고 길이 10-12mm로서 길이가 거의 같으며 선형이고 윗부분 이외에는 선모가 있다. 설상화는 1줄이며 암꽃이고 길이 3.5mm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지며 통상화는 양성으로서 모두 열매를 맺는다.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고 원줄기는 곧게서며 털이 많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마주 갈라진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하지만 남부지방에서 보다 왕성하게 자란다.
형태
1년생 초본이다.
크기
높이 1m이다.
학명 Sigesbeckia pubescens (Makino) Makino
J. Jap. Bot. 1 : 24 (1917)
1. Sigesbeckia orientalis subsp. pubescens (Makino) Kitam.
Compos. Jap. 3: 264 (1942)
2. Sigesbeckia orientalis var. pubescens Makino
Somoku-dzusetsu ed. Mak. 4: 1092 (1913)
국명 털진득찰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4)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5)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6)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영문명 : Glandularstalk St. Pauls-wort
일본명 : メナモミ
북한명 : 털진득찰
Sigesbeckia pubescens ( Makino ) Makino
J. Jap. Bot. i. 24 (1917).
i. 24 (1917).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선경희렴(腺梗豨莶)
Siegesbeckia pubescens Makino
异名(이명)
Siegesbeckia orientalis f. pubescens Makino
Siegesbeckia orientalis subsp. pubescens Kitam.
Siegesbeckia orientalis var. pubescens Makino
&&&&&&&&&&&&&&&&&&&&&&&&&&&&&&&&&&&&&&&&&&&&&&&&&&
진득찰/ 희렴(豨莶)
진득찰
이명 : [진둥찰][민진득찰][찐득찰] [희첨]
학명 : Sigesbeckia glabrescens (Makino) Makino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コメナモミ(Ko-menamomi)
영명 : Hairstalk. St. Paulswort
잎
잎은 대생하며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길고 길이 5~13cm, 폭 3.5~11cm로서 난상 삼각형이며 예두 절저이거나 엽병으로 흐르는 엽신과 더불어 예저이고 양면에 짧은 복모가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기부에 3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긴 타원형 또는 선형으로 되며 엽병이 없어진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서 10월에 익으며 도란형이고 4개의 능각이 있으며 길이 2mm로서 다름 물체에 잘 붙으며 관모가 없다.
꽃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1-3cm로서 짧은 털이 있다. 총포편은 5개이며 주걱모양으로 퍼지고 내포편은 꽃을 둘러사며 모두 녹색으로서 선모가 밀생한다. 설상화관은 길이 1.5-2.5mm로서 황색이고 끝이 3개로 얕게 갈라지며 통상화는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줄기
원줄기에 복모가 있고 원주형이며 곧게 서고 가지가 마주 갈라지며 갈자색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1년생 초본이다.
크기
높이 40~100cm이다.
생육 환경
인가 주변의 빈터나 밭 주변, 길가에서 자란다.
결실기
10월
이용방안
열매는 민간 약용으로 쓰인다. 한방에서 전초를 악창(惡瘡), 중독 및 중풍에 사용한다.
특징
원줄기와 잎에 복모가 있어 얼핏보기에 털이 없는 것같이 보이는 것이 다르다.
학명 Sigesbeckia glabrescens (Makino) Makino
J. Jap. Bot. 1 : 25 (1917)
1. Sigesbeckia formosana Kitam.
Acta Phytotax. Geobot. 6: 87 (1937)
2. Sigesbeckia glabrescens var. leucoclado Nakai
Bot. Mag. (Tokyo) 45 : 137 (1931)
3. Sigesbeckia orientalis f. glabrescens Makino
Bot. Mag. (Tokyo) 18 : 100 (1904)
4. Sigesbeckia orientalis subsp. glabrescens (Makino) Kitam.
Compos. Jap. 3: 263 (1942)
국명 진득찰
1)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민진득찰
2. 진둥찰
3. 찐득찰
4. 희첨
영문명 : Hairstalk St. Paulswort
일본명 : コメナモミ
북한명 : 진득찰
Sigesbeckia glabrescens ( Makino ) Makino
J. Jap. Bot. i. 25 (1917).
i. 25 (1917) 0
Links:
basionym of:Asteraceae Sigesbeckia orientalis subsp. glabrescens (Makino) H.Koyama Fl. Jap. (Iwatsuki et al., eds.) 3b: 32. 1995
Original Data:
Notes: S. orientalis f. glabrescens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Sigesbeckia glabrescens (Makino) Makino
이명(异名)
Siegesbeckia glabrescens var. leucoclada Nakai
Siegesbeckia formosana Kitam.
Siegesbeckia orientalis f. glabrescens Makino
Siegesbeckia orientalis subsp. glabrescens (Makino) Kitam.
Siegesbeckia orientalis var. glabrescens (Makino) Makino
Sigesbeckia formosana Kitam.
Sigesbeckia orientalis f. glabrescens Makino
Sigesbeckia orientalis subsp. glabrescens (Makino) Kitam.
Sigesbeckia orientalis var. glabrescens (Makino) Makino
Sigesbeckia pubescens var. glabrescens (Makino) Vorosch.
Sigesbeckia glabrescens var. leucoclada Nakai
&&&&&&&&&&&&&&&&&&&&&&&&&&&&&&&&&&&&&&&&&&&&&&&&&&
제주진득찰/희렴(豨莶)
제주진득찰
이명 : [찐득찰] [진득찰] [동방진득찰]
학명 : Sigesbeckia orientalis L.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일명 : ツクシメナモミ(Tsukushi-menamomi)
영명 : Common St. Paulswort
잎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길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삼각상 난형이며 예두 절저이고 엽병으로흐르며 길이 5-14㎝, 나비는 3-12㎝로서 양면에 복모가 밀생하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기부에 3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윗부분이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타원상 둔두로 된다.
열매
수과는 길이3mm, 지름 1mm정도로서 4개의 능선과 털이 있다.
꽃
두화는 많으며 지름 16-21mm로서 긴 화경이 있고 화경에 대가 있는 선모(腺毛)가 섞여 있는 것도 있으며 총포는 5개로서 대가 있는 선(腺)이 있다. 설상화관은 길이 2.2-2.5mm로서 황색이고 3개의 톱니가 있다.
줄기
높이 20-55cm이고 가지가 차상(叉狀)으로 갈라지며 짧은 털이 밀생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제주도 지역에 자란다.
형태
1년초
크기
높이는 20-55㎝
생육 환경
풀밭에서 자란다.
학명 Sigesbeckia orientalis L.
Sp. Pl. 2 : 900 (1753)
1. Sigesbeckia brachiata Roxb.
Hort. Bengal. 62 (1814)
2. Sigesbeckia gracilis DC.
Prodr. (DC.) 5 : 496 (DC., 1836)
3. Sigesbeckia iberica Willd.
Sp. Pl., (ed. 4) 3 : 2220 (1804)
4. Sigesbeckia orientalis f. angustifolia Makino
Bot. Mag. (Tokyo) 18 : 100 (1904)
국명 제주진득찰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동방진득찰
2. 진득찰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찐득찰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영문명 : Common St. Paulswort
일본명 : ツクシメナモミ
북한명 : 동방진득찰
Sigesbeckia orientalis L.
Species Plantarum 2 1753
1753
Type Information
"Habitat in China, Media ad pagos."
Type Remarks:
89817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가표준식물목록.IPNI
Sigesbeckia orientalis L.
이명(异名)
Siegesbeckia gracilis DC.
Siegesbeckia humilis Koidz.
Siegesbeckia brachiata Roxb.
Siegesbeckia iberica Willd.
Siegesbeckia microcephala DC.
Siegesbeckia orientalis f. angustifolia Makino
Siegesbeckia orientalis var. angustifolia Makino
Siegesbeckia micorcephala DC.
Sigesbeckia gracilis DC.
Sigesbeckia microcephala DC.
Sigesbeckia humilis Koidz.
Sigesbeckia microphylla
Sigesbeckia brachiata Roxb.
Sigesbeckia iberica Willd.
Sigesbeckia caspica Fisch. & C.A.Mey.
Minyranthes heterophylla Turcz.
Sigesbeckia orientalis f. angustifolia Makino
Sigesbeckia orientalis subsp. caspica Kitam.
Sigesbeckia orientalis var. angustifolia Makino
Sigesbeckia orientalis var. tenggerensis Hochr.
^^^^^^^^^^^^^^^^^^^^^^^^^^^^^^^^^^^^^^^^^^^^^^^^^^^^^^^^^^^^^^^^^^^^^^^^^^^^^^
稀嶰
희렴(狶薟)
音喜窪진득쏉性寒味苦有小毒
성(性)은 한(寒)하고 미(味)는 고(苦)하며 소독(小毒)이 있다.
主熱媞煩滿治風痺有服食法(詳見本經)
열닉번만(熱䘌煩滿)에 주효(主效)하고 풍비(風痺)를 치(治)한다. 복식법(服食法)은 본경(本經)에 자세히 씌어 있다.
處處有之一名火窪草氣如猪簽氣經蒸暴則散五月五日六月六日九月九日採莖葉暴乾《本草》
곳곳에 있는데 일명 화험초(火杴草)라고도 하며 냄새가 도꼬마리의 냄새 비슷한데 증폭(蒸暴)하면 산(散)한다. 오월(五月) 오일(五日), 유월(六月)육일(六日), 구월(九月) 구일(九日) 경엽(莖葉)을 채(採)하여 폭건(暴乾)한다.[본초].
稀簽
治中風久百醫不差五月五日摘其葉嫩枝酒蜜朝拌蒸九蒸九曝宭爲末蜜丸梧子大溫酒或米飮下五七十丸久服則眼目淸明筋骨强健髮白更黑《本草》
희렴(狶薟)
중풍(中風)이 오래되어 온갖 치료를 다 하여도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오월(五月)오일(五日)에 엽(葉),눈(嫩), 지(枝)를 주(酒), 밀(蜜)에 버무려 구증구폭(九蒸九曝)하여 볕에 말려 가루를 낸다. 다음 오자대(梧子大)크기의 밀환(蜜丸)을. 한번에 오십(五十)-칠십환(七十丸)은 온주(溫酒)나 미음(米飮)으로 미음으로 먹는다. 구복(久服)하면 안목(眼目)이 청명(淸明)하고 근골(筋骨)이 강건(强健)하고 백발(白髮)이 다시 검어진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 > 탕액편(湯液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계(大薊)[동의보감] (0) | 2021.01.13 |
---|---|
소계(小薊)[동의보감] (0) | 2021.01.13 |
야국화(野菊花)[동의보감] (0) | 2020.12.23 |
포공영(蒲公英)[동의보감] (0) | 2020.12.23 |
악실(惡實)[동의보감] (0) | 2020.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