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1. 19. 04:21ㆍ백두산 약술&효소이야기/효소& 고(膏)자료
당삼고(党参膏)
당삼고(當參膏)
약물조성(藥物組成)
당삼(黨參)(去芦)480两,黄耆320两,승마(升麻)40两,桂圆肉80两,生地160两,熟地160两,당귀(當歸)160两,자하거(紫河車)10具。
당삼(黨參)(去芦)2400g,黄耆1600g,승마(升麻)200g两,桂圆肉400g,生地800g,熟地800g,당귀(當歸)800g,자하거(紫河車)1具。
처방래원(處方來源)
《北京市中药成方选集》。
방제주치(方劑主治)
기혈우허(氣血亏虛),비위허약(脾胃虛弱),지체산연(肢体痠軟),정신피권(精神疲倦)。
방제공효(方劑功效)
대보기혈(大補氣血),건비양위(健脾養胃)。
제비방법(制備方法)
上药酌予切碎,水煎3次,分次过滤,去滓,滤液合并,用文火煎熬,浓缩至膏状,以不渗纸为度,每1两膏汁兑炼蜜1两成膏,装瓶,重2两。
용법용량(用法用量)
每服3-5钱,开水冲服,每日2次。
○당삼(黨參)(去芦)
甘平 補中益氣.和脾胃.除煩渴.中氣微虛.用以調補.甚爲平妥.
味(미)는 甘(감), 平(평)하고, 補中益氣(보중익기)하며, 脾胃(비위)를 和(화)하고, 煩惱(번뇌)를 除(제)하며, 渴(갈)를 解(해)한다. 中氣微虛(중기미허)에는 이것을 使用(사용)하여 調補(조보)하면 甚(심)히 妙(묘)하다.
按古本草云.參須上黨者佳.今真黨參久已難得.肆中所賣黨參.種類甚多.皆不堪用.唯防風黨參.性味和平和足貴。根有獅子盤頭者真,硬紋者偽也。
古本草(고본초)에서는 “參(삼)은 上黨(상당)의 것을 使用(사용)하는 것이 좋다.” 라고 하였으나, 지금은 眞品(진품)의 黨參(당삼)은 求得(구득)하기 어려우며, 藥種商(약종상)이 가지고 있는 黨參(당삼)은 種類(종류)가 甚(심)히 많지만 使用(사용)할 만한 것은 甚(심)히 少量(소량)이다. 오직 防黨參(방당삼)만이 性味(성미)가 和平(화평)하여 重要視(중요시)된다. 根(근)에 獅子盤頭(사자반두)가 있는 것이 眞品(진품)이며, 硬紋(경문)의 것이 僞造(위조)된 것이다.
(白黨、味微甘而甚淡、功力遠不及爾.)
白黨即將此參煮晒已成,原汁已出,不堪用。
白黨(백당)이라고 하는 것은 이 參(삼)을 煮晒(자쇄)하여 調製(조제)한 것으로 原汁(원즙)이 이미 追出(추출)되어 버렸으므로 使用(사용)할 것이 못된다.
○黄耆
元素曰︰黃耆甘溫純陽,其用有五︰補諸虛不足,一也;益元氣,二也;壯脾胃,三也;去肌熱,四也;排膿止痛,活血生血,內托陰疽,為瘡家聖藥,五也。
황기(黃耆)는 감(甘)하고 온(溫)하며 순양(純陽)한 것이다. 그 공용(功用)에 오종(五種)이 있다. 제허(諸虛) 부족(不足)을 보(補)하는 것이 그 一(일), 원기(元氣)를 익(益)함이 그 二(이) 비위(脾胃)를 장(壯)하게 함이 그 三(삼), 기열(肌熱)을 거(去)하는 것이 그 四(사), 농(膿)을 배출(排出)하고, 止痛(지통)하고, 活血生血(활혈생혈)하며, 음저(陰疽)를 내탁(內托)하는 창환자(瘡患者)의 성약(聖藥)이 五(오)이다.
又曰︰補五臟諸虛,治脈弦自汗,瀉陰火,去虛熱,無汗,則發之;有汗,則止之。
또 오장(五臟)의 제허(諸虛)를 보충(補充)하고, 맥현(脈弦), 자한(自汗)을 치유(治癒)하고, 음화(陰火)를 사(瀉)하고 허열(虛熱)을 거(去)하고 무한(無汗)할 때는 발한(發汗)하고, 땀이 날때는 이를 멈추게 한다.
杲曰︰《靈樞》云︰衛氣者,所以溫分肉而充皮膚,肥腠理而司開闔。黃耆既補三焦,實衛氣,與桂同功;特比桂甘平,不辛熱為異耳。但桂則通血脈,能破血而實衛氣, 則益氣也。又黃耆與人參、甘草三味,為除躁熱肌熱之聖藥。脾胃一虛,肺氣先絕,必用黃耆溫分肉,益皮毛,實腠理,不令汗出,以益元氣而補三焦。
영추경(靈樞經)에 “위기(衛氣)라는 것은 분육(分肉)을 따뜻하게 하여 피부(皮膚)를 충실(充實)하게 하고, 주리(腠理)를 풍만(豊滿)하게 하여 모공개폐(毛孔開閉)를 지배(支配)하는 것을 그 본분(本分)으로 한다.”라고 하며, 황기(黃耆)는 삼초(三焦)를 보(補)하여 그 위기(衛氣)를 충실(充實)히 하는 것으로서 계(桂)와는 그 공력(功力)이 동일(同一)하나 계(桂)와 같으면 혈맥(血脈)을 통(痛)하기 좋게 혈(血)을 파(破)하여 위기(衛氣)를 충실(充實)하게 하는 것인데 기(耆)는 기(氣)를 증익(增益)한다. 또 황기(黃芪)와 인삼(人參)과 감초(甘草)는 조열(躁熱), 기열(肌熱)을 제(除)하는 성약(聖藥)으로서 비위(脾胃)가 일단 허(虛)해져서 폐기(肺氣)가 먼저 절(絶)하면 반드시 황기(黃耆)를 용(用)하여 분육(分肉)을 온(溫)하게 하고 피모(皮毛)를 익(益)하고, 주리(腠理)를 충실(充實)히 함으로써 땀이 나지 않게 원기(元氣)를 증익(增益)하고, 삼초(三焦)를 보(補)한다.
○승마(升麻)
元素曰︰補脾胃藥,非此為引用不能取效。脾痺非此不能除。其用有四︰手足陽明引經,一也;升陽氣於至陰之下,二也;去至高之上及皮膚風邪,三也;治陽明頭痛,四也。
脾胃(비위)의 補藥(보약)은 이것 以外(이외)로는 引用(인용)해서 成功(성공)하는 法(법)은 거의 없다. 脾痺(비비)는 이것 以外(이외)의 것은 除得(제득)하는 것이 없다. 이 藥(약)의 應用(응용)에는 四種(사종)이 있는데 手足陽明經(수족양명경)의 引經(인경)이 一(일), 陽氣(양기)를 至陰(지음)아래서 升(승)하게 하는 것이 二(이), 至高(지고)의 上部(상부) 및 皮膚(피부)의 風邪(풍사)를 去(거)함이 三(삼), 陽明(양명)의 頭痛(두통)을 治癒(치유)하는 것이 四(사)가 되는 것이다.
杲曰︰升麻,發散陽明風邪,升胃中清氣,又引甘溫之藥上升,以補衛氣之散而實其表。故元氣不足者,用此於陰中升陽,又緩帶脈之縮急。有胃虛傷冷,鬱遏陽氣於脾土者,宜升麻、葛根以升散其火鬱。
升麻(승마)는 陽明(양명)의 風邪(풍사)發散(발산)하고, 胃中(위중)의 淸氣(청기)를 升(승)하고, 또 甘(감), 溫藥(온약)을 引導(인도)하여 上升(상승)시켜서 衛氣(위기)의 散(산)하는 것을 補(보)하고, 그 表(표)를 實(실)하게 한다. 그러므로 元氣不足(원기부족)에는 이것을 用(용)하여 陰中(음중)에 있어 陽(양)을 升(승)하게 한다. 또 帶脈(대맥)의 縮急(축급)을 緩(완)하게 해준다. 이것은 胃虛傷冷(위허상랭)하고, 陽氣(양기)를 脾土(비토)에 鬱遏(울알)하는 것이기 때문에 升麻(승마), 葛根(갈근)을 用(용)하여 그 火鬱(화울)을 升散(승산)하게 한다는 뜻이다.
好古曰︰蓋以升麻能引地黃及余藥同入陽明也。
대개 升麻(승마)는 能(능)히 地黄(지황)을 비롯한 그 외의 藥(약)을 引導(인도)하여 함께 陽明(양명)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時珍曰︰升麻引陽明清氣上行,柴胡引少陽清氣上行。此乃稟賦素弱,元氣虛餒,及勞役飢飽生冷內傷,脾胃引經最要藥也。升麻葛根湯,乃發散陽明風寒藥也。
升麻(승마)는 陽明(양명) 淸氣(청기)를 인도하여 上行(상행)하고 柴胡(시호)는 少陽(소양)의 淸氣(청기)를 인도하여 上行(상행)하는 것이다. 이것은 生來(생래)의 弱質者(약질자)의 元氣虛餒(원기허뇌) 및 勞役(노역), 饑飽(기포), 生物(생물), 冷物(냉물) 等(등)으로 脾胃(비위)를 內傷(내상)한 者(자)에 대한 引經(인경)의 最要藥(최요약)으로 升麻葛根湯(승마갈근탕)이 라는 것은 陽明(양명)의 風寒(풍한)을 發散(발산)하는 藥(약)이다.
時珍用治陽氣郁遏,及元氣下陷諸病,時行赤眼,每有殊效,神而明之,方可執泥乎?
時珍(시진)은 陽氣鬱遏(양기울알)을 비롯한 元氣下陷(원기하함)의 諸病(제병), 時行赤眼(시행적안)을 治療(치료)하는데 用(용)하여 그럴 때마다 현저하고 明確(명확)한 效驗(효험)을 거두고 있다. 方(방)은 固執(고집)으로 拘泥(구니)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大抵人年五十以後,其氣消者多,長者少;降者多,升者少;秋冬之令多,而春夏之令少。若稟受弱而有前諸証者,並宜此藥活法治之。
대개의 경우 人間(인간)은 五十(오십) 以後(이후)가 되면 그 氣(기)가 消耗(소모)되는 일이 많으며 增進(증진)하는 일이 얼마 안 된다. 降(강)하는 것이 많고, 升(승)하는 것은 적다. 秋冬(추동)에는 冷(냉)이 많고 春夏(춘하)에는 冷(냉)이 적다. 만약 患者(환자)의 天稟(천품)이 弱質(약질)에다 前記(전기)의 諸証(제증)이 있다면 어느 쪽이든지 이 藥(약)을 用(용)하여 應機(응기)의 活水段(활수단)을 加(가)해야만 좋을 것이다.
《素問》云︰陰精所奉其人壽,陽精所降其人夭。千古之下,窺其奧而闡其微者,張潔古、李東垣二人而已。外此,則著《參同契》、《悟真篇》者,㫖與此同也。
素問(소문)에 “陰精(음정)이 奉(봉)하는 곳은 그 사람이 壽(수)하고 陽精(양정)이 降(강)하는 곳은 夭(요)하다.”라고 하나 그 千古(천고)의 明言(명언)의 秘奧(비오), 機微(기미)함을 모두 得(득)한 者(자)는 張洁古(장결고), 李東垣(이동원) 두 사람뿐이다. 그 두 사람 以外(이외)에는 參同契(참동계)의 悟真篇(오진편)에 記述(기술)된 그 㫖趣(지취)에 合致(합치)할 뿐인 것이다.
○ 桂圆肉
時珍曰︰食品以荔枝為貴,而資益則龍眼為良。蓋荔枝性熱,而龍眼性和平也。嚴用和《濟生方》,治思慮勞傷心脾有歸脾湯,取甘味歸脾、能益人智之義。
食品(식품)으로 荔枝(여지)를 귀중한 것으로 하나, 資益(자익)하는데는 龍眼(용안)을 良品(양품)으로 친다. 대개 荔枝(여지)의 性(성)은 熱(열)하나 龍眼(용안)의 性(성)은 和平(화평)한 것이다. 嚴用和(엄용화)의 濟生方(제생방)에는 思慮(사려)에 의해 心脾(심비)를 勞傷(노상)한 것을 治(치)하는 歸脾湯(귀비탕)은 甘味(감미)가 歸脾(귀비)하여 곧잘 補益(보익)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生地, 熟地
元素曰︰地黃生則大寒而涼血,血熱者須用之;熟則微溫而補腎,血衰者須用之。又臍下痛屬腎經,非熟地黃不能除,乃通腎之藥也。
地黃(지황)은 生(생)것은 大寒(대한)하여 凉血(양혈)한다. 血熱(혈열)이 있는 사람에게 쓰인다. 熟(숙)한 것은 微溫(미온)하여 補腎(보신)하고 血衰(혈쇠)한 사람에게 쓰인다. 또 臍下痛(제하통)의 腎經(신경)에 屬(속)한다. 熟地黃(숙지황)은 以外(이외)것으로는 除(제)할 수 없다. 이것은 通常(통상) 腎(신)에 대한 藥(약)이다.
虞搏《醫學正傳》云︰生地黃生血,而胃氣弱者服之,恐妨食;熟地黃補血,而痰飲多者服之,恐泥膈。或云︰生地黃酒炒則不妨胃,熟地黃薑汁炒則不泥膈。此皆得用地黃之精微者也。
우박(虞搏)의 의학정전(醫學正傳)에 “생지황(生地黃)은 생혈(生血)하는 것이지만, 위기(胃氣)가 약(弱)한 사람이 복용(服用)하면 식물(食物)의 소화(消化)를 그르칠 염려가 있다.”.라고 되어 있다. “숙지황(熟地黃)은 보혈(補血)하는 것이지만, 담음(痰飮)이 많은 사람이 복용(服用)하면 격(膈)이 정체될 염려가 있다”.라고 되어 있다. 혹은 생지황(生地黃)은 주초(酒炒)하면 위(胃)를 그르치지 않으며, 숙지황(熟地黃)은 강즙초(薑汁炒)하면 격(膈)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한다. 이것은 모두 지황(地黃) 사용법의 정미(精微)를 습득(習得)한 것이다.
○ 당귀(當歸)
元素曰︰其用有三︰一,心經 本藥;二,和血;三,治諸病夜甚。凡血受病,必須用之。血壅而不流則痛,當歸之甘溫能和血,辛溫能散內寒,苦溫能助心散寒,使氣血各有所歸。
그 效用(효용)에는 三種(삼종)이 있다. 一(일)은 心經(심경)의 本藥(본약)이다. 二(이)는 血(혈)을 和(화)하게 한다. 三(삼)은 諸病(제병)이 夜間(야간)에 심해지는 것을 治(치)한다. 대개 血(혈)이 病(병)을 얻게 되었을 때는 반드시 이것을 사용해야 한다. 血(혈)이 壅(옹)하여 흐르지 않고 이로 인해 아픈 데는 當歸(당귀)의 甘溫(감온)으로 能(능)히 和血(화혈)하고, 辛溫(신온)으로 能(능)히 內寒(내한)을 散(산)하며, 苦溫(고온)으로 心(심)을 잘 도와 寒(한)을 흩트리고, 氣血(기혈)로 하여금 各各(각각) 歸所(귀소)가 있게 하는 작용이 있다.
好古曰︰入手少陰,以其心生血也。入足太陰,以其脾裹血也。入足厥陰,以其肝藏血也。頭,能破血;身,能養血,尾能行血。全用,同人參、黃耆,則補氣而生血;同牽牛,大黃,則行氣而補血;、大治頭痛,諸痛皆屬木,故以血藥主之。從桂,附,茱萸,則熱;從大黃,芒硝,則寒;佐使分定用者當知;酒蒸治頭痛諸痛 皆屬火故以血藥主之。
手少陰(수소음)에 들면 그것으로 心(심)이 生血(생혈)한다. 足太阴(족태음)에 들면 그것으로 脾(비)가 血(혈)을 감싼다.足厥陰(족궐음)에 들면 그것으로 肝(간)이 藏血(장혈)한다. 頭部(두부)는 破血(파혈)에 能(능)하고 身部(신부)는 養血(양혈)에 좋으며, 尾部(미부)는 行血(행혈)에 좋으므로 全用(전용)하여 人參(인삼), 黃耆(황기)와 함께 사용하면 氣(기)를 補(보)하여 生血(생혈)하고, 牽牛(견우), 大黄(대황)과 함께 사용하면 氣(기)를 行(행)하게 하여 破血(파혈)하고, 桂(계), 附(부), 茱萸(수유)를 함께 사용하면 熱(열)하며, 大黄(대황), 芒硝(망초)를 함께 사용하면 寒(한)하다. 左使(좌사) 각각 決定的(결정적)인 法則(법칙)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하는 者(자)는 充分(충분)히 이것을 會得(회득)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술로 찐 것으로 頭痛(두통)을 治(치)할 때에는 諸痛(제통)은 모두 火(화)에 屬(속)하는 것이므로 血藥(혈약)을 위주로 使用(사용)해야 한다.
○자하거(紫河車)
吳球云︰紫河車即胞衣也。兒孕胎中,臍系於胞,胞系母脊,受母之蔭,父精母血,相合生成,真元所鐘,故曰河車。雖稟後天之形,實得先天之氣,超然非他金石草木之類可比。
紫河車(자하거) 즉 胞衣(포의)이며, 兒(아)가 胎中(태중)에 있을 때는 臍(제)가 胞(포)에 連系(연계)되고 胞(포)는 母(모)의 脊(척)에 連系(연계)되어 母(모)의 蔭(음)을 受(수)하므로 父精(부정)과 母血(모혈)이 相合生成(상합생성)하며, 眞元(진원)이 聚合(취합)되는 곳이다. 그러므로 河車(하거)라고 한다. 後天(후천)의 形(형)을 稟(품)한 것이기는 하지만, 實(실)은 先天(선천)의 氣(기)를 得(득)한 것으로 超然(초연)하여 金石(금석), 草木(초목)의 類(유)와 比(비)할 것은 아니다.
愚每用此得效,用之女人尤妙。蓋本其所自出,各從其類也。若無子及多生女,月水不調,小產難產人服之,必主有子。危疾將絕者,一二服,可更活一二日。
나(吳球(오구)는 恒常(항상) 이것을 使用(사용)하여 效能(효능)을 얻었지만 그 中(중)에서도 婦人(부인)에게 使用(사용)하여 妙效(묘효)를 얻었다. 大槪(대개) 그 스스로 나오는 바에서 基因(기인)하여 各各(각각) 그 類(유)에 從(종)하는 것이다. 無子(무자)한 者(자), 女兒(여아)만을 多産(다산)하는 者(자), 月經不調(월경부조)의 者(자), 小産(소산), 難産者(난산자)가 이것을 服用(복용)하면 반드시 子息(자식)을 얻으며, 危篤(위독)하여 絶命(절명)하고자 하는 者(자)도 一(일)~二服(이복)으로 一(일)~二日(이일)은 延命(연명)하게 된다.
其補陰之功極重,百發百中久服耳聰目明,鬚髮烏黑,延年益壽,有奪造化之功,
그 補陰(보음)의 功(공)이 극히 妙(묘)하여 百發百中(백발백중)이다. 久服(구복)하면 耳聰(이총)하고, 明目(명목)하며, 鬚髮(수발)은 검어지고, 千年(천년)을 延(연)하고 壽命(수명)을 益(익)하며, 造化(조화)를 奪(탈)하는 功效(공효)가 있다.
一人病弱,陽事大痿,服此二料,體貌頓異,連生四子。一婦年六十已衰憊,服此壽至九十猶強健。一人病後不能作聲,服此氣壯聲出。一人病痿,足不任地者半年,服此後能遠行。(《諸証辨疑》)
어떤 사람이 病弱(병약)하여 陽事大痿(양사대위)하였으나 이것을 二劑(이제) 服用(복용)하여 體(체), 貌(모)가 確異(확이)하여 連續(연속) 四子(사자)를 生産(생산)하였다. 또 어떤 婦人(부인)은 六十歲(육십세)에 이미 衰憊(쇠비)하였으나 이 것을 服用(복용)하자 九十(구십)에 達(달)하여도 더욱 强健(강건)하였다. 或者(혹자)는 病後(병후)에 聲音(성음)이 나오지 않았으나, 이것을 服用(복용)하여 氣壯(기장)하고, 잘 나왔다고 한다. 或者(혹자)는 痿病(위병)으로 半年間(반년간) 起立不能(기립불능)이었으나 이것을 服用(복용)한 다음은 能(능)히 遠路(원로)를 步行(보행)하였다고 한다.
熊笏《中風論》:中風日久,則衛氣必衰,欲在表之衛氣盛,必須益其腎間動氣,如樹木培其根本,則枝葉暢茂也,然諸藥總不如紫河車之妙,其性得血氣之餘,既非草木可比,且又不寒不熱,而爲衛氣生發之源。蓋以血肉之屬,爲血肉之補,同氣相求也。
'백두산 약술&효소이야기 > 효소& 고(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삼고(党参膏) 제비과정[2] (0) | 2020.11.19 |
---|---|
당삼고(党参膏) 제비과정[1] (0) | 2020.11.19 |
감로고(甘露膏) (0) | 2019.12.27 |
오미자고(五味子膏)[동의보감]1 (0) | 2018.01.05 |
황기고(黃芪膏) (0) | 2018.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