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 19. 22:44ㆍ백두산 본초 이야기/백두산 본초 도감
사철나무/대엽황양(大葉黃楊)
사철나무
이명 : [들쭉나무] [개동굴나무] [겨우사리나무] [긴잎사철나무] [넓은잎사철나무] [동청목] [들축나무] [무른나무] [무른사철나무] [푸른나무]
학명 : Euonymus japonicus Thunb.
분류군 : Celastraceae(노박덩굴과)
일명 : マサキ(Masaki)
영명 : Spindle Tree, Japanese Spindle Tree
漢名 : 和杜沖(화두충/화할 화, 막을 두, 빌 충 ; 빌충자는 이수변으로도 씀.), 冬靑(겨울 동, 푸를 청)
잎
잎은 대생하며 혁질이고 도란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이며 두껍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 나며 광택이 있고 뒷면은 황록색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3~7cm, 폭은 3~4cm로서 가에는 둔한 거치가 있고 엽병은 길이 5-12mm이다.
열매
삭과는 둥글고 지름 8-9mm로서 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3-4개로 갈라져서 황적색 종의로 싸인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백색이고 길이 7mm로서 한쪽에 줄이 있다. 열매는 겨울 동안 빨갛게 달려 있다.
꽃
꽃은 양성으로서 6-7월에 피며 지름 7mm이고 연한 황록색이며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5-12송이가 달린다. 꽃받침은 4개인데 얕게 갈라져 있으며, 꽃잎 역시 4개로 난상이고 편평하게 피며 암술은 1개이다. 수술은 4개이다.
줄기
높이가 3m에 달하고 수피는 회흑색이 나며, 새로 난 가지는 녹색으로 털이 없고 많은 가지가 난다.
뿌리
잔뿌리와 실뿌리가 많다.
원산지
한국,만주,아무르,우수리,몽고,시베리아,유럽
분포
▶만주와 중국,일본에도 분포한다.
▶수직적으로 표고 50~500m, 수평적으로 중부 이남의 해변에 자생한다.
형태
상록활엽관목, 수형:원형.
크기
높이 6-9m까지
생육 환경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나 비교적 토질은 가리지 않는 편이다. 보통으로 관수 관리하며 내건성 식물이다. 음수 내지는 반음수로 양지에서도 잘 자라고 노지에서 월동하며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해풍과 염기에 강하며 내음력과 공해에 대한 저항성도 강하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건조
꽃/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및 삽목, 분주, 취목 등의 무성번식으로 행한다.
①실생 :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밭에 파종한다. 종자는 노천매장 후 파종한다. 종자의 경우 발아력이 매우 높다.
②삽목 : 일반적으로 번식은 주로 삽목을 이용하는 것이 쉽다.
ⓐ삽목은 봄 싹트기 전과 장마 때, 그리고 가을의 9-11월까지 할 수 있다.
ⓑ삽수는, 봄에 삽목할 경우는 지난해 가지를 자라 쓰며, 여름과 가을에는 그해 자란 가지의 단단하고 굳은 것을 쓴다. 익은 정도는 가지를 꺾어 봐서 뚝 꺽여지며 한쪽 껍질이 겨우 붙어 있는 정도로 굳은 것이 좋다. 길이는 10cm정도로서 세마디 정도 붙으면 된다.
ⓒ밑쪽 잎은 따내고 남은 잎은 반 정도 잘라 버리고 모나 진흙에 1/3정도 묻히게 꽂는다.
ⓓ삽목상은 반그늘지게 차광하여 주고 새싹이 3cm정도 자라면 이식해 비배한다.
재배특성
▶적지 : 해를 전혀 못받는 지나친 그늘과 심한 건조지만 아니면 아무곳에서난 잘 자란다.
▶이식 : 겨울을 제외하고는 어느 때라도 이식할 수 있으며 심을 때는 잔가지를 짧게 전정하여 심는 것이 좋다. 심을 때 빨리 자라고 잎 빛깔을 곱게 하려면 밑거름으로 퇴비, 깻묵, 닭똥, 재 같은 것을 넣고 심는 것이 좋다. 울타리용으로 심을 때눈 60㎝ 정도 크기의 묘목을 지그재그로 심어 위를 전정하면서 원하는 높이까지 기른다.
▶전정 : 4-10월까지 생육하므로 가지가 자라는데 따라 2-3회 전정을 되풀이하면 가지가 밀생하여 아름다운 수형이 된다.
이식기
3월, 4월, 6월
결실기
10월
이용방안
▶정원수나 생울타리용수, 경계식재, 차폐식재, 방화수 등으로 이용된다.
▶根(근)을 調經草(조경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연중 채취한다.
②성분 : 잎은 triterpenoid인 friedelin, epifriedelanol, friedelanol이 함유되어 있다. 또 quercetin-3-β-d-gluco-7-α-l-rhamnoside 및 kaempferol-3-β-l-rhamnoside 등의 flavonoid가 함유되어 있다. 잎의 황색부분중의 flavonoid 화합물은 녹색부분중의 것보다 많다.
③약효 : 調經(조경), 化瘀(화어)의 효능이 있다. 월경불순, 월경통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調經草(조경초) 30g과 고기를 약한 불에 달여서 복용한다. 월경통에는 조경초 15g, 水葫蘆(수호로) 15g을 약한 불로 천천히 달여서 복용한다.
보호방안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
유사종
▶무룬나무(var.macrophylla REGEL.): 잎이 타원형이고 길이 5-7.5cm이다.
▶긴잎사철(var.longifolia NAK.): 잎이 길이 6-9cm, 나비 2-3.5cm이다.
▶흰점사철 : 잎가장자리에 백색 반점이 있다.
▶은테사철(for.albomarginata Rehder): 잎 주위에 흰색 테가 있다.
▶금반사철(for.aureo-variegata Regel): 잎에 황색 반점이 있다.
▶금테사철(for.aureo-marginata Rehder): 잎가장자리가 황색이다.
▶황록사철(for.viridi-variegata Rehder): 잎에 황색과 녹색 반점이 있다.
특징
▶경상남도 울산군 온산면 목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65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는 사철나무외에 동백나무, 후박나무, 자귀나무, 다정큼나무, 소악등이 많고 볼레나무, 벚나무, 개산초나무, 팽나무등이 자란다. 면적은 15,074㎡정도이다.
▶개화기 때 똥파리가 많이 모여들어 위생적인 곳에서는 정원수로 적합하지 않다.
병충해정보
새로 나온 잎은 백분병에 걸리기 쉬우며 잎이 하얗게 된다. 충해는 봄에서 여름에 걸쳐 자벌레가 많이 발생하여 잎을 갉아 먹는다.
방제방법
백분병에 걸리면 질소 비료를 줄이고 인산, 카리질 비료를 많이 준다. 약제로는 카라센을 뿌리면 유효하다. 충해에는 스미치온이나 디프테렉스를 뿌려 구제한다.
학명 Euonymus japonicus Thunb.
Nova Acta Regiae Soc. Sci.- Upsal. 3:208
기재문 파일 이름 : Euonymus japonicus Thunb. 사철나무.pdf
1. Euonymus boninensis Koidz.
Bot. Mag. (Tokyo) 33 : 250 (1918)
1) A taxonomic study of Euonymus L.(Celastraceae) in Korea. (Y.S.Kim & J.H.Kim, 1994)
2. Euonymus japonicus L.f.
Suppl. Pl. 154 (1781)
1) A taxonomic study of Euonymus L.(Celastraceae) in Korea. (Y.S.Kim & J.H.Kim, 1994)
3. Euonymus japonicus var. latifolia Andre
Rev. Hort. 1883:234 (1883)
1) A taxonomic study of Euonymus L.(Celastraceae) in Korea. (Y.S.Kim & J.H.Kim, 1994)
4. Euonymus japonicus var. longifolius Nakai
Bot. Mag. (Tokyo) 42 : 451 (1928)
1) A taxonomic study of Euonymus L.(Celastraceae) in Korea. (Y.S.Kim & J.H.Kim, 1994)
5. Euonymus japonicus var. macrophylla Regel
Illustrated Flora of Korea (T.B.Lee, 1980)
6. Euonymus japonicus var. rugosus Nakai
Bot. Mag. (Tokyo) (Vol. 1-105, 1887-1992)
1) A taxonomic study of Euonymus L.(Celastraceae) in Korea. (Y.S.Kim & J.H.Kim, 1994)
7. Euonymus radicans var. vegetus Rehder
Tr. Shr. 1:129, t. 65 (Sander, 1903)
1) A taxonomic study of Euonymus L.(Celastraceae) in Korea. (Y.S.Kim & J.H.Kim, 1994)
8. Euonymus sinensis Carriere
Rev. Hort. 1883:37-38 (1883)
1) A taxonomic study of Euonymus L.(Celastraceae) in Korea. (Y.S.Kim & J.H.Kim, 1994)
9. Euonymus yoshinagae Makino
J. Jap. Bot. 3:3 (1913)
1) A taxonomic study of Euonymus L.(Celastraceae) in Korea. (Y.S.Kim & J.H.Kim, 1994)
10. Masakia japonica Nakai
J. Jap. Bot. 24:11 (1949)
1) A taxonomic study of Euonymus L.(Celastraceae) in Korea. (Y.S.Kim & J.H.Kim, 1994)
11. Masakia japonica var. latifolia Nakai
J. Jap. Bot. 24:11 (1949)
1) A taxonomic study of Euonymus L.(Celastraceae) in Korea. (Y.S.Kim & J.H.Kim, 1994)
12. Masakia yoshinagae (Makino) Nakai
J. Jap. Bot. 24:12 (1949)
1) A taxonomic study of Euonymus L.(Celastraceae) in Korea. (Y.S.Kim & J.H.Kim, 1994)
13. Pragmotessara japonica Pierre
Fl. For. Cochinch. 4, t. 309, pt. 2 (1894)
1) A taxonomic study of Euonymus L.(Celastraceae) in Korea. (Y.S.Kim & J.H.Kim, 1994)
국명 사철나무
1. 개동굴나무
2. 겨우사리나무
3. 긴잎사철나무
4. 넓은잎사철나무
5. 동청목
6. 들쭉나무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7. 들축나무
8. 무른나무
9. 무른사철나무
10. 푸른나무
북한명 사철나무
외국명 영문명
Spindle Tree, Japanese Spindle Tree
일본명
マサキ
Euonymus japonicus Thunb.
Nova Acta Regiae Soc. Sci. Upsal. iii. 208 (1780); Thunb. Fl. Jap. 100 (1784).
iii. 208 (1780); Thunb. Fl. Jap. 100 (1784). 0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동청위모(冬青卫矛)
Euonymus japonicus Thunb.
이명(异名)
Masakia japonica (Thunb.) Nakai
Euonymus sinensis Carrière
Cassine fortunei (Turcz.) Kuntze
Elaeodendron javanicum Turcz.
Euonymus carrierei Dippel
Euonymus pulchellus Dippel
Euonymus fortunei var. alticola Hand.-Mazz.
Euonymus repens Carrière
Euonymus japonicus var. litoralis Konta & S.Matsumoto
Euonymus japonicus var. radicifer Nakai
Euonymus japonicus var. rugosus Nakai
Euonymus kewensis Hesse
Pragmotessara japonica Pierre
常绿灌木或小乔木,高达8米。叶光亮革质,倒卵形或窄长椭圆形,长3-6厘米,宽2-3厘米;叶柄长6-10毫米。聚伞花序腋生,总花梗长2.5-3.5厘米,1-2回2歧分枝,每分枝顶端有5一12花的短梗小聚伞花序;花白绿色,直径约7毫米,4数,花丝细长,花盘肥大。蒴果淡红色,近球形,有4浅沟,直径约1厘米,果梗四稜形,较粗壮;种子每室1-2,棕色,有橙红色假种皮。 我国各省多栽培作绿篱。朝鲜,日本也有。树皮含硬橡胶;入药,有利尿、强壮之效.
^^^^^^^^^^^^^^^^^^^^^^^^^^^^^^^^^^^^^^^^^^^^^^^^^^^^^^^^^^^^^^^^^^^^
대엽황양(大葉黃羊)
Euonymus japonzcus Thunb.
공효(功效)
거풍온(祛风温);강근골(强筋骨);활혈지혈(活血止血)
과속분류(科属分类)
卫矛科
주치(主治)
풍습비통(風濕痹痛);요슬산연(腰膝酸軟);질타상종(叱咤傷腫);골절(骨折);토혈(吐血)
생태배경(生态环境)
生于土壤湿润的向阳地或庭园栽培。
채수화저장(采收和貯藏)
全年均可采,切段或树皮晒干。
식물형태(植物形态)
大叶黄杨
常绿灌木或小乔木,植株高3-8m。小枝近四棱形。单叶对生;叶柄长约1m;叶片厚革质,倒卵形,长圆形至长椭圆形,长3-6cm,宽2-3cm,先端钝尖,边缘具细锯齿,基部楔形或近圆形,上面深绿色,下面淡绿色。聚伞花序腋生,总花梗长2.5-3.5cm,一至二回二歧分枝,每分歧有花5-12朵,花白绿色,4数;花盘肥大。蒴果扁球形,径约1cm,淡红色,具4浅沟;果梗四棱形。种子棕色,有橙红色假种皮。花期6-7月,果期9-10月。
공효분류(功效分類)
거풍온약(祛风温药);강근골(强筋骨)약;활혈지혈약(活血止血藥)
생약재감정(生藥材鑑定)
性状鉴别 茎皮外表面灰褐色,较粗糙,有点状突起的皮孔及纵向浅裂纹。内表面淡棕色,较光滑。断面略呈纤维性,有较密的银白色丝状物,拉至3mm即断。气微,味淡而涩。
성미(性味)
苦;辛;微温
약재기원(藥材基源)
为卫矛科植物大叶黄杨Euonymus japonzcus Thunb.的茎皮及枝。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15-30g;或浸酒。
출처
《중화본초》
^^^^^^^^^^^^^^^^^^^^^^^^^^^^^^^^^^^^^^^^^^^^^^^^^^^^^^^^^^^^^^^^^^^^
대엽황양엽(大葉黃楊葉)
Euonymus japonzcus Thunb.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叶含三萜类无羁萜(friedelin),表无羁萜醇(epifriedelanol)和无羁萜醇(friedelanol)。又含槲皮素-3-β-D-葡萄糖-7-α-L-鼠李糖甙和山柰酚-3-β-D-葡萄糖-7-β-L-鼠李糖甙等黄酮类;叶子黄色部分中的黄酮类化合物较绿色部分为多。
공효(功效)
해독소종(解毒消腫)
과속분류(科属分类)
卫矛科
주치(主治)
창양종독(瘡瘍腫毒)
생태배경(生态环境)
生于土壤湿润的向阳地或庭园栽培。
채수화저장(采收和貯藏)
春季采收,晒干。
공효분류(功效分類)
해독소종약(解毒消腫藥)
약재기원(藥材基源)
为卫矛科植物大叶黄杨Euonymus japonzcus Thunb.的叶。
용법용량(用法用量)
외용:适量,鲜品捣敷。
출처
《중화본초》
^^^^^^^^^^^^^^^^^^^^^^^^^^^^^^^^^^^^^^^^^^^^^^^^^^^^^^^^^^^^^^^^^^^^
대엽황양근(大葉黃楊根)
Euonymus japonzcus Thunb.
귀경(归经)
肝经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根皮中含冬青卫矛碱(euojaponine)A、C、D、F、G、I、J、K、L、M,果实中含冬青卫矛倍半萜酯(ejap)2、3、4、5、6、7、10、12、13、14。
공효(功效)
활혈조경(活血調經);거풍습(祛風濕)
과속분류(科属分类)
卫矛科
주치(主治)
월경불조(月經不調);통경(痛經);풍습비통(風濕痹痛)
생태배경(生态环境)
生于土壤湿润的向阳地或庭园栽培。
채수화저장(采收和貯藏)
冬季采挖根部,洗去泥土,切片,晒干。
용약금기(用藥禁忌)
孕妇慎服。
공효분류(功效分類)
활혈조경약(活血調經藥);거풍습약(祛風濕藥)
약용식물재배(药用植物栽培)
生物学特性
喜温和湿润气候,耐寒性强,以排水良好,肥沃的壤土栽培为宜。
栽培技术 用种子繁殖和扦插繁殖。种子繁殖:于9-10月果实成熟时采种,去掉种皮,阴干,宜随采随播。撒播到苗床上,覆盖细土2cm,浇水保湿。此法适宜于引种。扦插繁殖:在春季3-4月进行,选择二年生枝条长20cm左右,剪去叶片,按行株距15cm×l5cm斜插于土中,稍压紧后浇水,保持湿润。插后30-40天可以定植。按行株距150cm×l00cm开穴,施足基肥后,选阴天种植。大田生产多采用此法。
3.田间管理:每年中耕除草3-4次,追肥结合除草进行。在生长前期,为了促进茎叶生长,追以氮肥为主,适施土杂肥;冬季施厩肥或草木灰等。冬季需注意树形剪修。
성미(性味)
辛;苦;温
약재기원(藥材基源)
为卫矛科植物大叶黄杨的根。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15-30g。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본초 이야기 > 백두산 본초 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포남사등(刺苞南蛇藤) (0) | 2020.01.25 |
---|---|
미역줄나무/뇌공등(雷公藤) (0) | 2020.01.19 |
야두중(野杜仲) (0) | 2020.01.19 |
소화위모(疏花衛矛)/산두중(山杜仲) (0) | 2020.01.19 |
부방등(扶芳藤) (0) | 2020.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