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지(松脂)[본경/동의보감]

2019. 9. 16. 23:21[신농본초경]/상경(上經)

송지(松脂)[본경/동의보감]

 

 

 

소나무/송지(松脂)

 

 

소나무

 

 

 

이명:[적송] [솔나무] [여송] [육송]

학명: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분류군:Pinaceae(소나무과)

일어:アカマツ

영어:Japanese Red Pine

 

잎은 침엽으로 2개가 속생하고 비틀리며 길이 8-9(14)cm,  1.5mm 여름에는 진록색, 겨울에는 연두색으로 되며 밑부분에 아린이 있고 2년 후 낙엽된다.

열매

구과는 난형이며, 이를 솔방울이라 한다. 길이 4.5cm, 직경 3cm로 황갈색이고 실편은 70-100개이다. 종자는 타원형이며 날개가 있고 길이 5-6mm,  3mm로서 각 실편에 2개씩 있는데 흑갈색이고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흔히 흑갈색 줄이 있다. 구과는 9월에 성숙한다.

꽃은 일가화로서 웅화수는 새가지 밑부분에 달리며 타원형이고 갈색으로 길이 1cm이며 자화수는 새가지 끝에 2-3개가 윤생하여 달리고 난형으로서 길이 6mm이다.

줄기

높이 35m, 지름 1.8m이며 가지가 퍼지고 윗부분의 수피는 적갈색이며, 노목의 수피는 흑갈색이고 거칠며 두껍다. 동아는 적갈색이다.

뿌리

심근성이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과 중국(온대기후지역)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국의 표고 1,300m이하에서 자생한다.

형태

상록침엽 교목, 수형:원추형, 원정형

크기

수고 35m, 직경 180

 

생육환경

극양수이며,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생육한다.

소나무는 어릴 때 성장이 빠르고 햇볕을 좋아하는 양수이다.

비교적 척박한 땅에서도 견디며 자라지만 역시 비옥하고 토심이 깊은 곳에서 좋은 성장을 보인다.

물이 괴는 습지는 좋지 못하고 뿌리에 외생균군이 발달하므로 땅이 지나치게 다져져서는 좋지 않다. 비교적 산성땅을 좋아한다.

건조한 곳에서 잘 자라고 추위에도 강하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건조

/번식방법

번식 방법은 가을에 종자를 기건저장했다가 파종 1개월 전에 노천매장한 후 사용한다.

곰솔 대목에 접을 붙이면 쉽게 많은 묘목을 얻을 수 있다.

재배특성

조림: 천연치수(天然稚樹)를 유도하기 위하여 띠모양으로 벌채하거나 드문드문 모수를 남겨서 벌채하는데 모수벌채의 경웅 형질이 우량한 모수를  20-30본을 남겨서 종자가 고루고루 퍼지도록 하고 잡관목과 풀이 많은 곳에 제초제를 살포하여 이를 고살시킨 후 땅을 긁어 주어야 한다. 묘목을 심어서 조림하는 경우에는 정보당 3,000본 정도를 심는데 이때 유의할 점은 반드시 우량한 강송종자에서 생산된 우량묘목인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풀베기: 매년 2회 이상 해주어야 발생된 치수 또는 조림목이 건전하게 자랄 수 있으며, 치수 또는 조림목이 1m가 되는 3-5년까지 이 작업을 반복한다. 제초제중 헥사지논은 소나무에는 피해가 없고 잡관목만 고사되므로 3월 하순부터 4월 초순사이에 헥타당 50을 손으로 흩어 뿌려주면 3년간 풀베기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잡목 솎아베기: 나무가 커감에 따라 적당한 본수만을 남기고 솎아베기를 해주어야 하며 나무나이 10년생내외 일때 1차실시하고 그후 3-4년 뒤에 재차 실시한다.

가지치기: 줄기에 가깝게 하여 줄기에 평행되게 잘라준다. 줄기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굵은 가지는 톱으로 가지 밑부분을 1/3정도 위로부터 자른다. 역지 이하의 작은 가지와 죽은 가지는 모두 자른다. 가지치기 시기는 11월부터 이듬해 3월 사이가 좋다.

간벌: 조림후 보통 15년이 지나면 간벌을 하며 우량한 나무인 미래목(未來木)을 선정한다. 미래목은 보통 정보당 400본 정도를 선정하며, 미래목간의 거리는 4m이상으로 한다. 처음 간벌한 후 4-5년이 지나면 남겨둔 나무들중에 다시 미래목의 자람에 방해가 되는 나무들이 자라므로 이들 나무와 불량목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3-4차례 간벌을 해준다.

이식: 이식이 어려운 편이며, 이식시기는 11월부터 2월말이다.

이식기

1,2,11,12

결실기

9

이용방안

수형이 부정형으로 아름다워 동양식 정원의 관상수로 이용된다. 도시공간의 정원수로는 공해와 음지에 약하여 적합하치 않다.

소나무는 그 용도가 대단히 다양하고 쓸모가 많다.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기구재, 토공용재, 펄프재로 쓰이고 예전에는 관재로 숭상되었다.

소나무의 각 부분을 약용한다.

 

松節(송절)은 가지와 줄기로, 祛風(거풍), 乾濕(건습), 舒筋(서근)  活絡(활락)의 효능이 있다.

 

松根(송근) 幼根(유근)이나 根白皮(근백피)로서, 筋骨痛(근골통), 傷損吐血(상손토혈), 충치의 통증을 치료한다.

 

松筆頭(송필두)는 어린가지와 그 先端(선단)으로, 活血(활혈),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타박상, 小便淋痛(소변임통-排尿痛(배뇨통))을 치료한다.

 

松葉(송엽) 祛風(거풍), 燥濕(조습), 살충 및 가려움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다.

 

松花粉(송화분) 祛風(거풍) 益氣(익기) 收濕(수습), 止血(지혈)의 효능이 있다.

 

松毬(송구)는 구과로서, 風痺(풍비), 腸燥便難(장조변난-腸液(장액) ()로 인한 변비), 치질, 風痺(풍비)로 인한 寒氣(한기), 虛羸少氣(허리소기)를 치료하며 ()를 보한다.

 

松木皮(송목피)는 수피로서, 祛風(거풍), 勝濕(승습), 瘀血(어혈)을 제거, () 收斂(수렴)하는 효능이 있다.

 

松脂(송지) 樹脂(수지)의 가공품으로 祛風(거풍), 燥濕(조습), 排膿(배농), 拔毒(발독), 止痛(지통), 生肌(생기)의 효능이 있다.

 

松油(송유)는 목재의 松脂(송지) , 목재에서 얻어낸 타르(tar)로서 疥瘡(개창)이 오랫동안 치유되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보호방안

정부에서는 소나무중 가장 형질이 뛰어난 강송을 경제수로 선정하여 조림을 장려하고 있으며, 이의 보급을 위하여 전국에 시험식재하고 있다. 아울러 전국에서 뛰어난 소나무들로 채종원을 조성하여 우량종자의 보급에 힘쓰고 있으며 2000년대에는 전국에 100%의 개량종자를 보급할 수 있을 것이다.

 

유사종

변종과 품종

 

반송 (for.muliticaulis UYEKI) : 밑부분에서 굵은 가지가 갈라진다.

 

금강송(forma erecta UYEKI): 태백산 일대에 곧게 자라고 있는 소나무를 Pinus densiflora S. et Z. for. erecta Uyeki로 분류하였는데 이를 금강소나무라 부른다. 우리는 현재 이것을 강송이라 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줄기가 곧고 측지가 짧아서 수관이 좋다. 주로 눈이 많이 내리는 태백산맥계에 난다. 즉 강원도, 경상북도, 북부 지방 그리고 충청북도 일부에 나는데 임업상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

 

처진소나무(forma pendula Mayr.): 이것은 가지가 아래로 처지는 수형을 가진 것인데 접목으로서 이형질이 유전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가지가 처질 수 있다. 현재 처진소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사례가 몇 건 있다. 가장 전형적인 것은 제 295호로 지정된 청도 매전면의 처진소나무를 들 수 있다. 수형이 아름답게 보인다.

 

산송(forma umbeliformis m.): 이것은 줄기가 곧으나 비교적 짧고 수관은 양산 모양을 하며 가지는 비교적 낮은 곳까지 붙어있다. 우리나라 북부 지방에 많으나 더러는 중부 및 남부에도 난다.

 

황금소나무(var. aurea Mayr): 잎의 색이 노란색을 띠는 것이다.

 

다행송(forma multicaulis Uyeki.):흔히 반송 또는 만지송이라 말하는데 줄기 가 아래쪽부터 여러 개로 갈라지고 좁은 각도로 위로 서서 자라는 수형을 가진다. 원예적으로 귀중하게 취급되고 있으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이 몇 건 있다.

 

특징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수종이다.

103 -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지정사유:노거수 높이:15m(조선시대 피부병으로 명산을 찾아다니던 세조가 법주사로 행차를 할때 가마가 이 소나무의 아랫가지에 걸릴까 염려하여 "연이 걸린다"라고 하자 이 소나무는 스스로 쳐들어 왕의 가마가 무사히 지나가게 해 주었다. 이로써 `연걸이소나무`라는 별명도 없게 되었으며, 또한 이를 기특하게 여긴 세조가 정2품송의 벼슬을 내려 [2품송]이라는 이름도 얻게 되었다.)

289 - 소재지: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면적:1 256㎡ ⓒ지정사유:노거수 수령:400 나무높이:17.5

290 - 소재지: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면적:1 314㎡ ⓒ지정사유:노거수 수령:600 나무높이:12.5m

350 - 소재지:강원도 명주군 연곡면 면적:1 200㎡ ⓒ지정사유:노거수 수령:450 나무높이:21m

351 - 소재지: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면적:1 138㎡ ⓒ지정사유:노거수 수령:500 나무높이:16m

352 - 소재지:충청북도 보은군 외속리면 면적:1 570㎡ ⓒ지정사유:노거수 수령:600 나무높이:15m

359 - 소재지: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면적:1 1,140㎡ ⓒ지정사유:노거수 수령:300 나무높이:11m

 

우리나라에 가장 많고 가장 넓은 면적에 자라고 있는 나무가 소나무이다. 소나무는 나무껍질과 겨울눈의 색이 붉어 적송(赤松)이라고도 하고, 주로 내륙지방에서 많이 자라므로 해안지방에서 자라는 해송(海松)과 대비하여 육송(陸松)이라고도 한다. 소나무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전역, 만주의 일부에 자라고 있으며, 이중 태백산맥 일대에 자생하고 있는 소나무를 특히 강송(剛松)이라 한다. 강송은 나무껍질이 유난히 얇고 줄기가 통직하며 심재가 붉고 재질이 좋아서 옛부터 가장 우량한 건축재로 꼽히고 있다. 1900년대초 이 강송이 주로 강북 봉화의 춘양역에 집산되어 서울등 대도시로 반출되었기 때문에 춘양목(春陽木)이라고도 부르게 되었다.

병충해정보

병해: 입고병, 엽진병

솔잎혹파리: 솔잎혹파리의 유충이 솔잎밑에 벌레혹을 만들어 그속에서 수액을 빨아 먹으므로 피해입은 잎은 생장이 중지되고 그해에 변색되어 낙엽되며 피해가 여러 해 반복되면 나무가 죽는다.

솔나방: 솔나방은 유충이 9월 상순부터 10월 하순 그리고 4월 상순부터 6월 하순 사이에 2회에 걸쳐 솔잎끝에서부터 모조리 먹으며 살므로 그 피해가 극심하다.

소나무좀: 소나무좀은 주로 벌채목, 벌근, 쇠약목이 많은 곳에 사는데 유충은 나무껍질 속에 들어가 가해하며, 성충이 되어서는 새로나온 순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가해하며 새순이 부러져 고사한다.

방제방법

솔잎혹파리: 방제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가장 손쉽고 경제적인 방법은 수간주사법인데 솔잎혹파리 성충이 가장 번성할 때인 6월에 다이메크론 50%액제를 지상 60cm높이의 나무줄기에 직경 1cm, 깊이 5-10cm의 구멍을 천공기로 45˚각도로 비스듬히 밑으로 뚫고 주입하는데 나무의 크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주입하는 약량을 달리한다.

가슴높이직경(cm) 10 13 16 19 22 25

주 입 약 량 (cc) 3.0 5.2 8.0 11.4 15.4 17.5

이와 아울러 7-8월경에 가지치기, 불량목제거, 간벌 등을 행하여 임내를 건조시켜 솔잎혹파리 발생에 불리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솔나방: 방제법으로는 춘기와 추기에 주론수화제, 트리므론수화제 600배액 또는 슈리사이드1,000배액을 살포한다.

소나무좀: 방제법으로는 겨울철에 벌채한 소나무를 2-3월에 피해임지속에 놓아 월동한 성충이 알을 낳게 한 다음 5월 중순 이전에 나무껍질을 벗겨 소각한다. 또한 임내에 죽은 나무와 쇠약해진 나무 등이 없도록 임내 정리를 해준다.

 

학명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Fl. jap. 2: 22 (1842)

1. Pinus densiflora f. brevifolia (Liou & Wang) Kitag.

Neolin. Fl. Manshur. 97 (Kitag., 1979)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2. Pinus densiflora var. brevifolia Liou & Wang

Ill. Fl. Lign. Pl. N.-E. Chin. 98, 549 (195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3. Pinus densiflora var. funebris (Kom.) Liou & Wang

Ill. Fl. Lign. Pl. N.-E. Chin. 98 (195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4. Pinus densiflora var. liaotungensis Liou & Wang

Ill. Fl. Lign. Pl. N.-E. Chin. 548 (195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5. Pinus funebris Kom.

Act. Hort. Petrop. 20: 117 (190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6. Pinus scopifera Miq.

Zoll. Syst. Verz. Ind. Arch. 82 (185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소나무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1. 솔나무

2. 여송

3. 육송

4. 적송

영문명 :Japanese Red Pine

일본명 :アカマツ

북한명 :소나무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Fl. Jap. (Siebold) 2: 22, t. 112. 1842

2: 22, t. 112 1842

Type Information

 

Original Data:

Notes: Japon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적송(赤松)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이명(异名)

 

Pinus scopifera Miq.

Pinus densiflora f. liaotungensis (Liou et Q. L. Wang) Kitag.

Pinus funebris Kom.

Pinus densiflora var. brevifolia Liou et Z. Wang

Pinus densiflora var. liaotungensis Liou et Q. L. Wang

Pinus densiflora forma sylvestriformis Taken.

Pinus densiflora f. brevifolia (Liou & Q.L.Wang) Kitag.

Pinus densiflora f. nigricorticalis Q.L.Wang

Pinus densiflora var. aureovariegata-pendula Mayr

Pinus densiflora var. oculus-draconis-pendula Mayr

Pinus densiflora var. pendula Mayr

Pinus sylvestris subsp. densiflora (Siebold & Zucc.) Vorosch.

 

常绿乔木树皮黄红色鳞状脱落一年生枝淡桔黄色或红黄色微被白粉无毛冬芽红褐色针叶2针一束8-12厘米树脂管6-7边生叶鞘宿存球果圆锥状卵形3-3.5厘米成熟后淡褐黄色或淡黄色种鳞较薄鳞盾平或微厚鳞脐背生通常有刺种子长倒卵形或卵圆形4-7毫米种翅淡褐色1-1.5厘米

 

分布于东北牡丹江流域至辽东半岛山东东部和江苏东北部朝鲜日本也有在南京等城市有栽培

 

木材供建筑坑木及木纤维原料树干割取树脂供提取松香及松节油种子含油约37%,供食用和工业用油

 

&&&&&&&&&&&&&&&&&&&&&&&&&&&&&&&&&&&&&&&&&&&&&&&&&&

 

 

화산송(華山松)/송지(松脂)

 

 

 

화산송(华山松)

 

Pinus armandii Franch.

이명(异名)

 

Pinus armandi Franch.

Pinus scipioniformis Mast.

Pinus levis Lemée et H. Lév.

Pinus excelsa var. chinensis Patschke

 

 

Pinus armandii Franch.

Pl. Davidian. i. (1884) 285.

i. (1884) 285. 0

Type Information

 

Original Data:

Notes: Mongol

 

 

출처:.IPNI

 

 

 

常绿乔木

 

一年生枝绿色或灰绿色干后褐色或灰褐色无毛冬芽褐色微具树脂针叶5针一束67),较粗硬8-15厘米树脂管3背面2个边生腹面1个中生叶鞘早落球果圆锥状长卵形10-22厘米直径5-9厘米熟时种鳞张开种子脱落种鳞的鳞盾无毛不具纵脊鳞脐顶生形小先端不反曲或微反曲种子褐色至黑褐色无翅或上部具稜脊1-1.8厘米直径0.6-12厘米

 

分布于山西河南陕西甘肃四川贵州云南西北部和西藏东部及南部材质优良耐腐供建筑枕木用材种子含油约42%食用和供制硬化油还可提取树脂挥发油及栲胶等物质

 

 

 

 

 

&&&&&&&&&&&&&&&&&&&&&&&&&&&&&&&&&&&

 

 

 

황산송(黄山松)/송지(松脂)

 

 

황산송(黄山松)

 

Pinus taiwanensis Hayata

이명(异名)

 

Pinus taiwanensis var. damingshanensis Cheng et L. K. Fu

Pinus hwangshanensis W. Y. Hsia

Pinus luchuensis subsp. hwangshanensis (K. C. Hsia) D. Z. Li

Pinus luchuensis subsp. taiwanensis (Hayata) D. Z. Li

Pinus luchuensis var. hwangshanensis (K. C. Hsia) C. L. Wu

Pinus brevispica Hayata

 

 

 

常绿乔木

 

树皮灰褐色鳞状脱落一年生枝淡黄褐色或暗红褐色无毛冬芽深褐色针叶2针一束稍粗硬通常长7-10厘米树脂管3-9中生叶鞘宿存球果卵圆形3-5厘米直径3-4厘米近无柄成熟后栗褐色宿存数年不落种鳞的鳞盾稍肥厚隆起横脊明显鳞脐背生有短刺种子长4-6毫米种翅长约6毫米 分布于台湾福建中部及西部浙江西部及西南部安徽南部江西北部湖南东北部及中部和贵州东北部为该地区海拔700米以上荒山的造林树种木材坚实可供建筑等用也可割取松脂和提取松节油

 

 

Pinus taiwanensis Hayata

J. Coll. Sc. Tokyo xxx. Art. I, 307 (1911).

xxx. Art. I, 307 (1911). 0

Links:

basionym of:Pinaceae Pinus luchuensis Mayr subsp. taiwanensis (Hayata) D.Z.Li Edinburgh J. Bot. 54(3): 342. 1997

 

Original Data:

Notes: Formosa

 

 

 

출처:IPNI

 

 

&&&&&&&&&&&&&&&&&&&&&&&&&&&&&&&&&&&

 

마미송(馬尾松)/송지(松脂)

 

 

마미송(马尾松)

 

Pinus massoniana Lamb.

 

이명(异名)

 

 

Pinus sinensis D. Don

Pinus argyi Lemée et H. Lév.

Pinus argyi var. longevaginans H. Lév.

Pinus cavaleriei Lemée et H. Lév.

Pinus crassicorticea Y. C. Zhong et K. X. Huang

Pinus canaliculata Miq.

Pinus argyi var. longivaginans H.Lév.

 

 

 

 

 

乔木高达45

 

胸径 1.5;树皮红褐色下部灰褐色裂成不规则的鳞状块片;枝平展或斜展树冠宽塔形或伞形枝条每年生长一轮但在广东南部则通常生长两轮淡黄褐色无白粉稀有白粉无毛;冬芽卵状圆柱形或圆柱形褐色顶端尖芽鳞边缘丝状先端尖或成渐尖的长尖头微反曲针叶2针一束3针一束1220厘米细柔微扭曲两面有气孔线边缘有细锯齿;横切面皮下层细胞单型第一层连续排列第二层由个别细胞断续排列而成树脂道约48在背面边生或腹面也有2个边生;叶鞘初呈褐色后渐变成灰黑色宿存雄球花淡红褐色圆柱形弯垂11.5厘米聚生于新枝下部苞腋穗状615厘米;雌球花单生或24个聚生于新枝近顶端淡紫红色一年生小球果圆球形或卵圆形径约2厘米褐色或紫褐色上部珠鳞的鳞脐具向上直立的短刺下部珠鳞的鳞脐平钝无刺球果卵圆形或圆锥状卵圆形47厘米2.54厘米有短梗下垂成熟前绿色熟时栗褐色陆续脱落;中部种鳞近矩圆状倒卵形或近长方形长约3厘米;鳞盾菱形微隆起或平横脊微明显鳞脐微凹无刺生于干燥环境者常具极短的刺;种子长卵圆形46毫米连翅长22.7厘米;子叶581.22.4厘米;初生叶条形2.53.6厘米叶缘具疏生刺毛状锯齿花期45球果第二年1012月成熟

 

 

 

Pinus massoniana Lamb.

Descr. Pinus [Lambert] 1: t. 12. 1803

1: t. 12 1803

Distribution:

China (Asia-Temperate)

 

Links:

has [later] homonym:Pinaceae Pinus massoniana Zucc. Fl. Jap. (Siebold) 2: 24 (t. 113, 114). 1842

 

 

 

 

 

 

 

출처:.IPNI

 

 

 

&&&&&&&&&&&&&&&&&&&&&&&&&&&&&&&&&&&

 

 

곰솔/송엽(松葉)

 

 

 

 

 

곰솔

 

 

 

이명: [해송] [왕솔] [가지해송] [곰반송]

학명:Pinus thunbergii Parl.

분류군:Pinaceae(소나무과)

일어:クロマツ

영명:Japanese Black Pine

 

잎은 억세고 엽초는 회백색이나 밑쪽은 갈색이고 숙존성이다. 잎 횡단면상에 배열되는 수지도는 중위이다. 잎은 짙은 녹색이며 길이 9-14cm,  1.5mm로서 다소 비틀리고 끝이 뾰족하며 아린(芽鱗)은 회백색으로서 2-3년 동안 남아 있다.

열매

구과는 50-60개의 실편(實片)으로 구성되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45-60mm,  30-40mm로서 녹갈색으로 익고 실편은 중앙부가 나오지만 중앙부의 돌기가 뾰족하지 않다. 종자는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표면의 색은 자흑색이며 길이 7-8mm로서 겉이 거칠고 자흑색이며 날개가 넓은 피침형으로서 둔두이다. 자엽(子葉) 4-8개이지만 보통 6개이다. 소나무처럼 늦봄쯤에 수분이 이루어진 다음 수정이 되어 구과는 성숙하는데 2년이 걸린다. 열매는 이듬해 9월에 성숙한다.

꽃눈은 눈의 중산 부분이 팽창해서 굵다. 5월에 개화한다. 웅화수(雄花穗)는 원통형으로서 그 해에 자란 축()의 중간보다 높은 곳에 모여 나며 길이 1.5cm이고 자갈색이며 각 인편에는 2개의 꽃밥이 달린다. 자화수(雌花穗)는 난형이고 길이 6mm이며 인편이 연한 적색에서 자적색으로 변한다.

줄기

높이 20m, 지름 1m에 달하며 가지가 억세고 조잡해 보이며 한해에 가지를 내는 층이 하나로서, 이러한 특성은 단일절이라 한다. 그래서 가지의 윤층의 수를 계산함으로써 나무의 나이를 알 수 있다. 수피는 흑갈색이고 동아는 백색이다.

뿌리

직근과 측근이 모두 왕성하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바닷가나 해풍의 영향이 미치는 곳에 자생하며 제주도로부터 동해안의 울진. 서해안에서는 경기도 수원 부근의 해안(북위 37°15)에 걸친 해안 지대 및 도서에 한하여 자란다. 남해안에서는 그 분포의 범위가 가장 넓어서 해안으로부터 4-8km 떨어진 곳까지 자라지만 동해안에 있어서는 북쪽으로 가면서 대상분포의 폭이 점점 좁아진다. 서해안에서는 유별나게 군산, 이리 그리고 더 내륙을 향해서 분포하고 있는 것이 이색적이다. 동해안에서는 인공 식재한 것은 강릉 지방에도 잘 자라고 있다. 수직적으로는 북위 35°이남에서 해발고도 550m이하, 그보다 더 북쪽에서는 100m이하에 분포하는 것도 보고되고 있다.

형태

상록침엽교목

크기

수고 20m 이상, 직경 1m

 

생육환경

소나무보다 수령의 극한은 더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해안가 낮은 곳에서 자라며 모래땅에 많고 적지가 아니면 빠른 성장은 일찍 중지된다.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을 좋아하지만 척박한 곳에서도 잘 견딘다. 추위에 약해서 중부내륙지방에서는 생육이 불가능하다. 바닷바람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햇볕을 즐기는 양수이다.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에서 자라며, 내건성 식물로 보통으로 관수 관리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약함

토양

보통

수분

건조

/번식방법

종자로 쉽게 실생묘가 양성될 수 있다.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였다가 파종 1개월 전에 노천매장한 후 파종한다.

어린 묘목은 다른 소나무류의 접목용 대목으로 쓰이고 있다.

순량율 96%, 당 입수 35,262, 발아율 92% 이다.

재배특성

조림: 해송은 천연하종갱신이 잘되는 수종이므로 훌륭한 어미나무가 있는 곳에서는 묘목을 심는 것보다 이 천연갱신을 유도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천연갱신을 위하여는 형질이 좋은 모수를 정보당 20-30본을 남기고 벌채하며, 임지에는 제초제를 살포하거나 잡초와 잡관목을 모두 제거하고 흙이 들어나도록 긁어주어야 천연치수가 잘 나온다. 사방지 조림이나 방풍림조성 조림 등을 위하여 묘목을 심는 조림의 경우에는 2년생 묘목을 정보당 3,000본씩 심는다.

풀베기: 풀베기란 3-5년간 해주는데 잡관목이 무성한 곳은 6월과 8 2회씩 해주어야 발생된 치수 또는 조림목이 잘 자랄 수 있다. 제초제중 헥사지논은 해송에 피해없이 잡초와 잡관목만 죽으므로 3월 하순부터 4월 하순사이에 정보당 50을 살포하면 3년간 풀베기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잡목 솎아베기: 낫으로 풀베기한 곳은 3-4년이 지난 후에, 해송이 밀생된 곳은 적당한 본수만 남기고 솎아베주어야 한다.

 

가지치기: 가지치기 높이는 제일 긴 가지 바로 밑에까지 하는데, 보통 나무줄기의 직경이 6m정도 되는 곳까지 한다. 가지치기 본수는 벌채할 때까지 남겨둘 나무 본수보다 조금 많은 1,000본 내외만을 골라서 한다. 가지치기는 톱으로 줄기에 바짝 붙여서 줄기와 평행이 되도록 잘라준다. 낫으로 하게 되면 줄기에 상처를 주거나 바짝 붙여서 자를 수가 없으므로 반드시 톱으로 잘라 주어야 한다.

간벌: 나무를 심은지 15년생 내외가 되면 시작한다.

결실기

9

이용방안

주요 조림수종 : 내공해수종

해풍에 강하므로 방조림(防潮林), 해안사방(海岸砂防)의 주요 수종으로 이용되고 있다.

조경가치가 다양하여 해안이나 간척지 조경용으로 많이 식재된다.

목재는 건축, 토목, 펄프재로 쓰이고 수피, 화분, 송진, 잎 등은 식용, 약용으로 이용된다.

유사종

곰반송(for. multicaulis Uyeki): 소나무에 반송이 있듯이 줄기가 아래쪽에서 갈라져 나와 주간이 없는 것이다.

간흑송(Pinus densi-thunbergii Uyeki,중곰솔): 소나무와 해송은 교잡이 잘되는데 그 사이에 만들어진 잡종을 간흑송이라 하고 소나무와 해송의 분포 접경 지대에 흔히 나타나고 있다.

특징

소나무보다 수지의 함량이 더 많고 건축재, 가구재로서도 소나무만 못하다.

 

천연기념물

160(제주시), 353(서천 신송리), 355(전주 삼천동), 356(장흥 관산읍)호로 지정되어 있다.

188 - 소재지:전라북도 익산군 망성명 면적:1,246㎡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 나무높이:10.2m

269 - 소재지: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송현리 290 면적: 1 420㎡ ⓒ지정사유:노거수 수령:300 나무높이:18m

270 - 소재지:부산직할시 남구 수영동 면적:1 314㎡ ⓒ지정사유:노거수 수령:400 나무높이:22m

353 - 소재지: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면적:1 231㎡ ⓒ지정사유:노거수 수령:400 나무높이:17m

355 - 소재지:전라북도 전주시 삼천동 면적:1 706㎡ ⓒ지정사유:노거수 수령:250m 나무높이:12m

 

 

해송은 바닷바람을 좋아하는 까닭에 해송(海松)이란 이름을, 잎이 억세고 곰같다고 하여 곰솔이란 이름을 얻었다. 줄기색깔이 검정색을 띠고 있어서 흑송이라고도 하며 외국사람들도 해송을 검은소나무라 부르고 있다. 해송은 소나무와 같은 2엽송으로 나무의 생김새는 소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의 색깔이 진하고 억세며, 겨울눈이 소나무는 붉은데 반하여 흰색이므로 구분이 잘된다. 해송은 처음의 자람은 매우 빨라서 소나무를 능가하나 뒤에 가면 늦어져서 소나무에 뒤지게 된다. 재질은 소나무만 못하나 줄기가 대체로 곧게 자란다. 변재는 약간 노란색이고 심재는 적갈황색이며 소나무보다 변재가 많고 심·변재의 구분은 뚜렷하다. 생장속도는 빠른 편이다.

병충해정보

병해 : 잎녹병, 잎떨림병, 피목가지마름병, 혹병, 모잘록병.

충해

솔잎혹파리: 유충이 솔잎밑에 벌레혹을 만들어 그 속에서 수액을 빨아 먹으므로 피해입은 잎은 생장이 중지되고 그해에 변색되어 낙엽되며, 피해가 여러해 반복되면 나무가 죽는다.

솔껍질깍지벌레 : 애벌레가 나무줄기 및 가지의 껍질밑에서 수액을 빨아 먹는다. 벌레가 가해한 부위가 갈색으로 변하며 심하면 나무 전체가 말라 죽는데, 특히 3-5월에 피해가 심하게 나타난다.

방제방법

솔껍질깍지벌레 : 방제법으로는 12월부터 이듬해 1월중에 포스팜 액제를 흉고직경의 비례에 따라 1 0.6 씩 주입한다. 또 피해가 번져가는 선단지에서는 7-8월경에 밀생임분을 강도간벌하여 나무의 수세를 높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솔잎혹파리 : 방제법으로 가장 손쉽고 경제적인 방법은 수간주사법인데, 솔잎혹파리 성충이 가장 번성할 때인 6월에 다이메크론 50% 액제를 지상 60 높이의 나무줄기에 직경 1, 깊이 5-10의 구멍을 천공기로 45도 각도로 비스듬히 밑으로 뚫고 주입하는데 나무의 크기에 따라 주입하는 약량을 달리한다.

잎떨림병 : 벤레이트수화제, 톱신수화제를 6월 초에서 7월 하순사이에 2주간격으로 뿌린다.

잎녹병 : 다이센 M-45 600배액을 동포자가 발아하기 전인 9-10월사이에 2주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모잘록병 : 종자소독(부산30유제 500배액에 3-4시간, 또는 호마이수화제 200배액에 24시간 침적후 파종한다), 토양소독(파종 1주일전에 다찌가렌 100배액을 묘상 1  1kg씩 뿌린다음 갈아 뒤엎는다.)

가지마름병: 방제법으로는 6-9월 사이에 포리옥신 수화제 또는 베노밀수화제를 수회 살포한다.

뿌리혹병: 발병 초기에 환부를 예리한 칼로 깍아내고 생석회 4을 물 5에 타서 소독하고 발코트 또는 톱신 도포제를 바른다.

 

 

학명 Pinus thunbergii Parl.

Prodr. 16(2): 388 (DC., 1868)

1. Pinus massoniana Palib.

Consp. Fl. Kor. 3: 36 (1901)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곰솔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1. 가지해송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곰반송

1) 조선수목 (이창복, 1947)

3. 왕솔

1)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4. 해송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영문명 :Japanese Black Pine

일본명 :クロマツ

북한명 :곰솔

 

 

Pinus thunbergii Parl.

Prodr. (DC.) 16(2.2): 388. 1868 [mid Jul 1868]

16(2.2): 388 1868

Distribution:

Japan (Eastern Asia, Asia-Temperate);China (Asia-Temperate);

 

Links:

replaced synonym of:Pinaceae Pinus thunbergiana Franco Anais Inst. Super. Agron. 16: 130. 1949

 

Remarks: Parlatore published P. thunbergii as a sp nov. for P. sylvestris sensu Thunb. (Fl. Jap. 274. 1784), non L. (1753).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흑송(黑松)

Pinus thunbergii Parl.

이명(异名)

 

Pinus thunbergiana (Parl.) Franco

Pinus thunbergii var. pendula Mayr

 

常绿乔木一年生枝淡黄褐色无毛冬芽银白色针叶粗硬2针一束6-12厘米树脂管6-11中生叶鞘宿存球果圆锥状卵形或卵圆形4-6厘米有短柄熟时栗褐色种鳞的鳞盾隆起横脊显著鳞脐微凹有短刺种子倒卵状椭圆形5-7毫米种翅灰褐色有深色条纹10-12毫米 原产朝鲜和日本在我国辽东半岛山东江苏浙江福建和台湾有栽培木材供坑木板料家具等用也可采割树脂针叶入药能祛风止痛活血消肿明目花粉治湿热种子可榨油

 

&&&&&&&&&&&&&&&&&&&&&&&&&&&&&&&&&&&&&&&&&&

 

 

유송(油松)/송지(松脂)

 

 

 

유송(油松)

 

Pinus tabuliformis Carrière

이명(异名)

 

Pinus tabulaeformis Carr.

Pinus tabuliformis var. tokunagai (Nakai) Taken.

Pinus tokunagai Nakai

Pinus tabuliformis var. bracteata Takenouchi

Pinus tabuliformis f. jeholensis Liou et Z. Wang

Pinus taihangshanensis Hu et T. Y. Yao

Pinus leucosperma Maxim.

Pinus densiflora var. tabuliformis (Carrière) Mast.

Pinus tabuliformis f. purpurea Liou et Z. Wang

Pinus tabuliformis var. tokunagae (Nakai) Taken.

Pinus tokunagae Nakai

 

 

 

 

 

Pinus tabuliformis Carrière

Traité Gén. Conif., ed. 2. 510. 1867

510 1867

 

형태특정(形态特征)

 

  

油松红皮松短叶松Pinus tabulaeformis Carr.

 

为松科松属针叶常绿乔木高达30胸径可达1树皮下部灰褐色裂成不规则鳞块裂缝及上部树皮红褐色大枝平展或斜向上老树 油松3

平顶小枝粗壮黄褐色有光泽无白粉冬芽长圆形顶端尖微具树脂芽鳞红褐色针叶2针一束暗绿色较粗硬10-15(20)厘米1.3-1.5毫米边缘有细锯齿两面均有气孔线横切面半圆形皮下细胞为间断型两层树脂道3-8(11)边生角部和背部偶有中生 叶鞘初呈淡褐色后为淡黑褐色雄球花柱形1.2-1.8厘米聚生于新枝下部呈穗状当年生幼球果卵球形黄褐色或黄绿色直立球果卵形或卵圆形4-7厘米有短柄与枝几乎成直角成熟后黄褐色常宿存几年中部种鳞近长圆状倒卵形1.6-2厘米1.2-1.6厘米鳞盾肥厚有光泽扁菱形或扁菱状多角形横脊明显纵脊几乎无鳞脐明显有刺尖种子长6-8毫米连翅长1.5-2.0厘米翅为种子长的2-3花期5球果第二年10月上中旬成熟

 

&&&&&&&&&&&&&&&&&&&&&&&&&&&&&&&&&&&

 

운남송(云南松)/송지(松脂)

 

 

 

운남송(云南松)

 

Pinus yunnanensis Franch.

이명(异名)

 

Pinus sinensis var. yunnanensis (Franch.) Shaw

Pinus tabuliformis var. yunnanensis (Franch.) Dallim. et A. B. Jacks.

Pinus insularis var. yunnanensis (Franch.) Silba

Pinus kesyya subsp. yunanensis (Franch.) Businsky

 

 

常绿乔木

 

树皮褐灰色裂成不规则鳞块状脱落一年生枝淡红褐色无毛三年生枝上的鳞叶常脱落冬芽红褐色针叶通常32一束柔软15-25(-30厘米15毫米树脂管4-6边生与中生并存叶鞘宿存球果圆锥状卵形6-11厘米成熟时张开基部宽有短柄鳞盾肥厚稍平或隆起间或反曲鳞脐微凹或微凸有短刺种子褐色近卵圆形或倒卵圆形微扁4-5毫米种翅长12-14毫米 分布于西藏东部四川西部及西南部云南贵州西部及西南部和广西西北部为一主要造林树种木材可供建筑家具和木纤维原料等用松根可培养茯苓树皮可提栲胶种子可榨油

 

 

 

 

Pinus yunnanensis Franch.

Journ. de Bot. 1899, 253.

1899, 253. 0

Links:

hybridparent of:Pinaceae Pinus × naxiorum Businský Harvard Pap. Bot. 13(1): 11. 2008 [30 Jun 2008]

 

Original Data:

Notes: China

 

 

 

출처:IPNI

 

 

^^^^^^^^^^^^^^^^^^^^^^^^^^^^^^^^^^^^^^^^^^^^^^^^^^^^^^^^^^^^^^^^^^^^^^^^^^^

 

 

 

松脂

 


味苦溫

 

主疽惡創頭瘍白禿疥搔風氣五藏除熱久服輕身不老延年一名松膏一名松肪生山谷


 

名醫生太山六月採

說文松木也或作;《范子計然松脂出隴西松膠者善

 

 

 

[本經/上經]

 

^^^^^^^^^^^^^^^^^^^^^^^^^^^^^^^^^^^^^^^^^^^^^^^^^^^^^^^^^^^^^^^^^^^^^^^^^^^

 


松脂

 

송지(松脂)

 


소나모진性溫味苦甘一云平無毒

 

()은 온()하고 미()는 감()하며<일운(一云)()> 무독(無毒)하다.

 

 


安五藏除熱治風痺死肌主諸惡瘡頭瘍白禿疥瘙去死肌療耳聾牙有狰孔貼諸瘡生肌止痛殺盤


 

오장(五臟)을 안정(安定)하고 제열(除熱)하며, 풍비(風痺), 사기(死肌)를 치()한다. 제악창(祭樂瘡), 두양백독(頭瘍白禿), 개소(疥瘙)를 치()하며, 사기(死肌)를 제거(除去)한다. 이롱(耳聾), 아공(牙孔)을 막아 요()한다. 제창(諸瘡), 생기(生肌), 지통(止痛)하며, 살충(殺蟲)한다.

 


一名松膏一名松肪六月採自流出者勝於鑿孔及煮取脂也以通明如熏陸香者爲勝


 

일명(一名) 송고(松膏), 송방(松肪)이라고도 한다. 유월(六月)에 절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받으면 구멍을 뚫고서 받은 것과 졸여서 진을 낸 것보다 질이 좋다. 투명하며 유향 비슷한 것이 좋은 것이다.

 


煉法以桑灰水或酒煮軟婔內寒水中數十過白滑則可用本草


 

연법(鍊法)으로 상회수(桑灰水)나 주자(酒煮)하여 주물러서 한수(寒水)에 십여회(十餘回) 담가내서 희고 미끈미끈해지면 쓸 수 있다[본초].

 


又法用河水煮化投冷水中令兩人琜援旣疑再煮如此三次再用酒煮三次以白如飴糖爲度凡用入石臼中嶽搗爲末不可望焙亦不可單服塞實腸胃入門


 

또 한 가지 방법은 강물에 달여 녹여서 찬물에 넣고 두 사람이 켜다가 켜지지 않게 엉키면 재차 달여서 찬물에 넣고 켜는데 이렇게 세번 한다. 그 다음 또 술에 넣고 달이기를 세번 하여 흰 엿처럼 될 때까지 한다. 쓸 때에는 돌절구에 넣고 따로 가루 낸다. 햇볕에 말려서는 안 되고 약한 불기운에 말려도 안 된다. 이것 한 가지만 먹으면 장위(腸胃)가 막히게 된다[입문].

 



松實

 

송실(松實)

 


 

性溫味甘無毒

 

()은 온()하고 미()는 감()하며 무독(無毒)하다.

 

 


主風痺虛羸以氣不足本草

 

풍비(風痺), 허리(虛羸)로 기부족(氣不足)에 주요(主要)하다.[본초].

 

 

 

 


松葉

 

송엽(松葉)

 

 


主風濕瘡生毛髮安五藏不飢延年本草

 


 

풍습창(風濕瘡), 모발(毛髮)을 생()하며, 오장(五臟)을 안정(安定)하고, 불기(不肌)하고 천수(千壽)를 연장(年長)하는데 주효(主效)하다.[본초].

 

 

 


松節

 


송절(松節)

 


 

主百節風脚痺骨節痛釀酒療脚軟弱本草


 

백절풍(百節風), 각비(脚痺), 骨節痛(골절통), 釀酒(양주)하여 음용(音容)하면 갹연약(煉藥)dlp 주효(主效)가 있다.[본초].

 




松花

 

송화(松花)

 

 


名松黃輕身療病卽花上黃粉勝皮葉及子本草


 

송황(松黃)이라고도 한다. 몸을 가볍게 하고 병을 낫게 한다. 즉 꽃에 있는 누른 가루인데 껍질, 잎 또는 씨보다 좋다[본초].

 

 

 


松根白皮

 

송근백피(松根白皮)

 

 


 

抗穀不飢益氣補五勞本草


 

벽곡불기(辟谷不肌)한다. 오로(五勞)를 보()하고 익기(益氣)한다.[본초].

 

 

 

 



松灗


 

송예(松詣)

 


 

主牛馬疥瘡燒松脂取汁也本草


 

(), ()의 개창(疥瘡)에 주효(主效)하다. 송지(松枝) 燒取 )이다.[본초].

 

 

 


 

松樹皮上綠衣


 

송수피상록의(松樹皮上綠衣)


 

名艾姭香一名狼苔合諸香燒之其烟不散團聚靑白可愛本草


 

 

 

애납향(艾納香)이라고 한다. 일명 낭태(狼苔)라고도 하는데 여러 가지 향과 같이 피우며 그 연기가 흩어지지 않고 푸르고 흰 색으로 뭉게뭉게 모여 올라가는 것이 아름답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