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3. 20. 00:59ㆍ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 단[동의보감등]
저당탕(抵當湯)[동의보감]
^^^^^^^^^^^^^^^^^^^^^^^^^^^^^^^^^^^^^^^^^^^^^^^^^^^^^^^^^^^^^^^^^^^^
抵當丸
저당환(抵當丸)
治蓄血在下而無身熱便黑喜忘如狂等證但小腹滿而尿利者宜用此緩以下之
축혈(蓄血)이 하초(下焦)에 있으면서 신열(身熱)하고 변흑(便黑)하며, 선망(善忘)하고, 미친 것 같은 증상들은 없고 다만 아랫배가 그득하면서도 소변자리(小便自利)하는 치(治)하는데 이 약을 천천히 먹여 설사시킨다.
水蛭恂盤各七箇桃仁六箇大黃三錢右爲末蜜和分作二丸水一盞煎一丸至七分頓服未效再服《丹心》
수질(水蛭), 맹충(虻虫) 각(各) 칠개(七個), 도인(桃仁) 육개(六個), 대황(大黄) 삼전(三錢),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밀화(蜜和)하여 이환(二丸)을 만들어 일환(一丸)씩 물 일잔(一盞)에 넣고 달여 칠분(七分)이 되면 돈복(頓服)한다. 효과(効果)가 없으면 재복(再服)한다. [단심].
抵當湯
저당탕(抵當湯)
治一切瘀血結胸晨語漱水等證
일체(一切)의 어혈(瘀血)로 결흉(結胸)이 되어 헛소리하는 것, 물로 양치질만 하고 넘기지 않는 것 등의 증을 치료한다.
水蛭炒恂盤炒去足翅桃仁留尖各十枚大黃蒸三錢右犫作一貼水煎服《入門》
수질(水蛭/초(炒)), 맹충(虻虫/초(炒)거족시(去足翅)), (도인(桃仁/끝을 그대로 둔 것), 각(各)십매(十枚), 대황(大黃/증(蒸)) 삼전(三錢). 위의 약들을 썰어서 일첩(一貼)으로 하여 전복(煎服)한다.[입문].
[東醫寶鑑]
成無己曰︰肝者血之源,血聚則肝氣燥。肝苦急,急食甘以緩之。桃仁之甘以緩肝散血,故張仲景抵當湯用之,以治傷寒八、九日,內有畜血,發熱如狂,小腹滿痛,小便自利者。
肝(간)은 血(혈)의 源(원)으로 血聚(혈취)하면 肝氣(간기)가 燥(조)하고, 肝(간)은 갑자기 作痛(작통)한다. 서둘러 甘(감)을 먹음으로 이를 緩(완)해야 하는 것인데, 桃仁(도인)의 甘(감)은 肝(간)을 緩(완)하게 하고 散血(산혈)한다. 그래서 張仲景(장중경)의 抵當湯(저당탕)에서는 이것으로 傷寒(상한) 팔~구일로 內(내)에 畜血(축혈)이 있고 發熱(발열)하는 것이 狂(광)과 같으며 小腹滿痛(소복만통)하고 小便自利(소변자리)하는 것을 治(치)한다.
又有當汗失汗,熱毒深入,吐血及血結胸,煩躁譫語者,亦以此湯主之。與虻蟲、水蛭、大黃同用。
또 땀이 나와야 하는데도 땀이 나오지 않고 熱毒(열독)이 깊이 들어가 吐血(토혈)하며, 血(혈)이 結胸(결흉)하여 煩燥(번조)하고, 譫語(섬어)하는 者(자)가 있는데 역시 이 湯(탕)을 主(주)로 하고 虻虫(맹충), 水蛭(수질), 大黄(대황)과 함께 사용한다.
^^^^^^^^^^^^^^^^^^^^^^^^^^^^^^^^^^^^^^^^^^^^^^^^^^^^^^^^^^^^^^^^^^^^
저당탕(抵當湯)
수질(水蛭)(熬)三十个、 맹충(虻虫)(去翅足,熬)三十个、 도인(桃仁)(去皮尖)二十个、 대황(大黃)(酒洗)三两。
용법(用法)
上药四味,以水500毫升,煮取300毫升,去滓温服100毫升,不下更服。
논술(論述)
1、太阳病六七日,表证犹存,脉微而沉,反不结胸,其人发狂者,以热在下焦,少腹当硬满,小便自利者,下血乃愈,所以然者,以太阳随经,瘀热在里故也,抵当汤主之。
2、太阳病,身黄,脉沉结,少腹硬,小便不利者,为无血也,小便自利,其人如狂,血证谛也,抵当汤主之。
방의(防衣)
成氏曰:「甘缓结,苦泄热,桃仁、大黄之甘苦,以下结热。苦走血,咸渗血,虻虫、水蛭之苦咸,以除畜血。
变化方:本方减水蛭十个,虻虫、桃仁各减五个,分为四丸,每水煮一丸,名抵当丸。治本病无善忘如狂之证者。
又附方:代抵当丸:大黄、生地、归尾、桃仁、穿山甲、玄明粉、桂,蜜丸。
주치(主治)
下焦蓄血所致的发狂或如狂,少腹硬满,小便自利,喜忘,大便色黑易解,脉沉结,及妇女经闭,少腹硬满拒按者。
「抵当」的方名意义,说法不一:一谓非大毒猛厉之剂不足以抵挡其热结蓄血之证;一谓抵当乃抵掌之讹,抵掌是水蛭一药的别名(陆渊雷引山田氏语),本方以其为主药,因而得名。但也有谓「抵当」为「至当」者,如王晋三曰:「抵当者,至当也。蓄血者,至阴之属,真气运行而不入者也,故草木不能独治其邪,务必以灵幼嗜血之虫为向导。飞者走阳路、潜者走阴路,引领桃仁攻血,大黄下热,破无情之血结,诚为至当不易之方,毋惧乎药之险也。」(《古之选注》)或曰,本方有攻逐蓄血之功,可宜抵当攻之处,故名。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환& 단[동의보감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거팔미환(河車八味丸) (0) | 2019.03.20 |
---|---|
철옹성(鐵甕城) 신선생(申先生)의 경옥고가감 (0) | 2019.03.20 |
산삼익수영진고(山參益壽永眞膏) (0) | 2019.03.14 |
천마환(天麻丸)[2] (0) | 2019.03.14 |
천마환(天麻丸) (0) | 2019.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