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근(葛根)[본경/동의보감]

2019. 3. 19. 23:17[신농본초경]/중경(中經)

갈근(葛根)[본경/동의보감]

 

/갈근(葛根)

 

 

 

이명: [] [] [칙덤불]

학명: Pueraria lobata (Willd.) Ohwi

분류군: Leguminosae(콩과)

일명: クズ

 

잎은 호생하며 삼출복엽으로 되어 있으며 소엽은 능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와 넓이가 각각 10-15로서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얕게 3갈래로 갈라지며 선단이 뾰족하고 뒷면은 흰색을 띤다. 엽병은 길이 10-20cm로서 털이 있으며 탁엽은 피침형이고 중앙 부근에 붙어 있으며 길이 15-20mm로서 떨어진다.

열매

협과는 넓은 선형이고 편평하며 길이 4-9cm, 나비 8-10mm로서 길고 굳은 갈색의 퍼진 털이 있으며 열매는 9-10월에 익고 종자는 갈색인데 작다.

액생하는 총상화서는 곧추서며 길이 10-25로서 짧은 화경이 있는 많은 꽃이 핀다. 꽃은 8월에 피며 길이 1.8-2.5로서 홍자색이다. 포는 선형이고 긴 털이 있으며 길이 8-10mm, 나비 1/4-1/3mm로서 곧 떨어지고 소포는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꽃받침은 중열되며 밑의 열편이 통부보다 1.5-2배 길다. 기판은 홍색이며 중앙이 황색으로 피고 익판은 적자색이다. 접혀화이다.

줄기

길게 자라지만 끝부분이 겨울 동안에 말라 죽으며 줄기는 흑갈색으로 갈색 또는 백색의 퍼진 털과 구부러진 털이 있다. 아랫부분은 목질화해서 가지가 잘 갈라진다. 오래된 것은 줄기의 직경이 10나 되는 것도 있으며 지면이나 다른 나무를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뿌리

2~3m, 지름 20~30cm나 되는 것도 있으며 땅 속에서 옆으로 뻗고 섬유질로서 회백색을 띠며 녹말을 저장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대만과 중국,동남아시아 등 여러 나라에 분포한다.

전국 산야의 표고 100-1,200m의 양지에 자생한다.

형태

낙엽활엽만목

크기

길이 10m 이상,직경 20 이상.

생육환경

산기슭 양지쪽에 나며 햇볕을 잘 받는 곳이면 어느 곳에서나 잘 생육한다.

광선

양생

/번식방법

번식은 분주법, 종자재배법, 종내 잡목법, 삽목법 등으로 이루어지지만 대개는 삽목법에 의하여 번식되고 있다. 포기나누기를 하거나 꺾꽂이로 하며,종자는 기건저장하였다가 이듬해 봄 파종 전에 열탕처리하여 사용한다.

종자를 노천매장하였다가 뿌리거나 파종전 37의 온탕에 20시간정도 침적한 후에 뿌리기도 한다. 진한 황산에 5분간 담구었다가 뿌리기도 하며 모래와 섞어 절구에 넣어 종피에 상처를 낸 후에 파종하기도 한다.

3-4월경에 가지삽목 또는 휘묻이를 5월경에 하기도 한다.

결실기

9,10

이용방안

생육이 왕성하기 때문에 경사지나 황폐지에 식재하여 토양침식을 방지한다. 그러나 주위 식물을 감아올라가 생육을 저해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칡전분은 제과원료, 제약정제의 결합제로 쓰인다.

 

잎은 차의 대용으로 쓰이나 사료로도 쓰인다.

 

줄기는 새끼 대신 쓰며 껍질로는 갈포를 만든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칡은 녹색을 얻을 수 있는 염료 식물이다. 잎에서 염료를 추출하는데 0.1%의 탄산칼륨 액에 넣어서 끓여 염액을 얻는다.

 

칡의 각 부분을 약용한다.

 

葛根(갈근) -

 

塊根(괴근)은 갈근이라 하며, , 가을에 뿌리를 캐어 외피를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갈근에는 isoflavone 성분의 puerarin, puerarin xyloside, daidzein, β

-sitosterol, arackin() 또는 다량의 전분(신선한 갈근에는 19-20%)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發汗(발한), 해열, 鎭痙(진경), 解飢(해기), 透疹(투진), 止渴(지갈), 止瀉(지사), 升陽

(승양)의 효능이 있다. 傷寒(상한)에 의한 溫熱頭痛(온열두통)으로 목덜미가 굳어지는 것, 

(번열)에 따른 消渴(소갈), 泄瀉(설사), 이질, 반진불투), 고혈압, 心絞痛(심교통-협심증),

難聽(난청)을 치료한다.

 

葛蔓(갈만) - 칡의 덩굴로, 癰腫(옹종), 喉痺(후비)를 치료한다.

 

葛葉(갈엽) - 잎에는 robinin 0.17-0.35%가 함유되어 있다. 切傷出血(절상출혈)에 갈엽을

비벼서 부드럽게 하여 붙인다.

 

葛花(갈화) - 8월 상순 무력, 꽃이 만개하기 전에 따서 경엽(莖葉)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酒毒(주독)을 풀어 술을 깨게 하는 효능이 있다. 傷酒(상주)에 의한 發熱(발열), 煩渴(번갈), 惡心(악심), 식욕부진, 嘔逆吐酸(구역토산), 吐血(토혈), 內痔(내치)  腸風下血(장풍하혈)을 치료한다.

 

葛穀(갈곡) - 종자를 갈곡이라 하며, 酒毒(주독)을 풀어주고 補心(보심), 淸肺(청폐)하는 효능이 있고 下痢(하리)를 치료한다.

 

葛粉(갈분) - 칡의 괴근을 물로 갈아서 맑은 웃물을 제거한 다음 침전물을 건조한 가루이

. 生津(생진), 止渴(지갈), 淸熱(청열), 除煩(제번)의 효능이 있다. 煩熱(번열), 口渴(구갈), 熱瘡(열창), 喉痺(후비) 등을 치료한다.

보호방안

황폐지 및 절토면 피복을 위하여 많이 심고 있으나 산복부와 산간계곡부에서는 사람들이 채취를 하지 않으므로 자연번성하여 조림목 및 유용수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많아 오늘날에는 문제식물로 등장하고 있다.

특징

뿌리를 갈근(葛根)이라 하고,특히 1차 천이식생으로 황폐척악지에 침입하여 번성한다.

 

 

 

학명 Pueraria lobata (Willd.) Ohwi

Bull. Tokyo Sci. Mus. 18: 16 (1974)

1. Dolichos lobatus Willd.

Sp. Pl., (ed. 4) 3(2) : 1047 (1802)

1) in Bull. Tokyo Sci. Mus. 18: 16 (Ohwi, 1974)

2. Puer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Benth.

Journ. L. Soc. Lond. Bot. 9: 122 (1867)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국명 칡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2. 

3. 칙덤불

영문명 : kudzu-vine

일본명 : クズ

북한명 : 

 

Pueraria lobata ( Willd. ) Ohwi

Bull. Tokyo Sci. Mus. No. 18, 16 (1947).

No. 18, 16 (1947) 0

Original Data:

Notes: Dolichos lobatus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野葛藤 Pueraria lobata (Willd.) Ohwi 异名

正名Pueraria montana var. lobata (Willd.) Maesen et S. M. Almeida ex Sanjappa et Predeep 葛麻姆

 

 

갈마모(葛麻姆)

Pueraria montana var. lobata (Willd.) Maesen et S. M. Almeida ex Sanjappa et Predeep

이명(异名)

 

Pueraria lobata (Willd.) Ohwi

Dolichos hirsutus Thunb.

Dolichos lobatus Willd.

Pueraria thumbergiana (Siebold et Zucc.) Benth.

Pueraria argyi H. Lév. et Vaniot

Pueraria bodinieri H. Lév. et Vaniot

Pueraria caerulea H. Lév. et Vaniot

Neustanthus chinensis Benth.

Pueraria pseudohirsuta T. Tang et F. T. Wang

Pueraria hirsuta (Thunb.) C. K. Schneid.

Pueraria koten H. Lév. et Vaniot

Pachyrhizus thunbergianus Siebold et Zucc.

Pueraria harmsii Rech.

Pueraria volkensis Hosok.

Pueraria nevo-guineensis Warb.

Pueraria neo-caledonica Harms

Pueraria novo-guineensis Warb.

Pueraria volkensii Hosok.

Pueraria thunbergiana (Siebold & Zucc.)Benth.

Pueraria pseudo-hirsuta T.Tang & Wang

Pueraria lobata subsp. lobata (Willd.)Ohwi

 

 

葛麻姆

 

Dolichos lobatus Willdenow, Sp. Pl. 3: 1047. 1802; D. hirsutus Thunberg; Neustanthus chinensis Bentham; Pachy-rhizus thunbergianus Siebold & Zuccarini; Pueraria argyi H. Léveillé & Vaniot; P. bodinieri H. Léveillé & Vaniot; P. caeru-lea H. Léveillé & Vaniot; P. koten H. Léveillé & Vaniot; P. lo-bata (Willdenow) Ohwi; P. lobata var. chinensis (Bentham) Ohwi; P. montana var. chinensis (Bentham) Maesen & S. M. Almeida ex Sanjappa & Predeep; P. thunbergiana (Siebold & Zuccarini) Bentham.

 

Calyx 8-10 mm. Standard obovate, 10-12 mm; wings subequal to keel. Legumes 5-9 cm × 8-11 mm.Mountain forests or cultivated. Everywhere in China except Qing-hai, Xinjiang, and Xizang [SE Asia to Australia; also introduced in Afri-ca, America, and Europe].

 

 

 

Pueraria montana ( Lour. ) Merr. var. lobata ( Ohwi ) Maesen & S.M.Almeida

J. Bombay Nat. Hist. Soc. 85(1): 234 (1988):.

85(1): 234 (1988): 1988

Nomenclatural Notes:

nom. inval. with incorrect basionym and basionym ref.

 

Links:

basionym:Leguminosae Pueraria lobata (Willd.) Ohwi var. lobata

 

Original Data:

Basionym: PUERARIA lobata var. lobata. (Ohwi)

 

 

 

 

Pueraria montana ( Lour. ) Merr. var. lobata ( Willd. ) Maesen & S.M.Almeida ex Sanjappa & Predeep

in M. Sanjappa, Legumes of India 288. 1992

288 1992

Links:

basionym:Leguminosae Dolichos lobatus Willd. Sp. Pl., ed. 4 [Willdenow] 3(2): 1047. 1802 [1-10 Nov 1802]

 

 

 

藤本块根肥厚各部有黄色长硬毛小叶3顶生小叶菱状卵形5.5-19厘米4.5-18厘米先端渐尖基部圆形有时浅裂下面有粉箱两面有毛侧生小叶宽卵形有时有裂片基部斜形托叶盾形小托叶针状总状花序腋生花密小苞片卵形或披针形萼钟形萼齿5披针形上面2齿合生下面一齿较长内外面均有黄色柔毛花冠紫红色长约1.5厘米荚果条形5-10厘米扁平密生黄色长硬毛

 

除新疆西藏外分布几遍全国朝鲜日本也有生于草坡路边或疏林中茎皮纤维供织布和造纸原料块根可制葛粉并和花供药用能解热透疹生津止渴解毒止泻种子可榨油

 

&&&&&&&&&&&&&&&&&&&&&&&&&&&&&&&&&&&&&&&&&&&&&&&&&&&&&&&&&&

 

분갈(粉葛)/갈근(葛根)

 

 

甜葛 Pueraria thomsonii Benth. 异名

正名Pueraria montana var. thomsonii (Benth.) Wiersema ex D. B. Ward 粉葛

 

 

분갈(粉葛)

 

Pueraria montana var. thomsonii (Benth.) Wiersema ex D. B. Ward

 

 

 

 

이명(异名)

 

Pueraria lobata var. thomsonii (Benth.) Maesen

Pueraria lobata subsp. thomsonii (Benth.) Ohashi et Tateishi

Pueraria lobata var. chinensis Benth.

Dolichos grandifolius Graham ex Wall.

Pueraria thomsonii Benth.

Pachyrhizus trilobus (Lour.) DC.

Pueraria chinensis Ohwi

Pueraria montana var. chinensis (Ohwi) Maesen et S. M. Almeida

 

 

Pueraria montana var. thomsonii ( Benth. ) Wiersema ex D.B.Ward

Phytologia 84(6): 386. 1998 [Sep 1999]

84(6): 386 1998

Links:

nomenclatural synonym:Fabaceae Pueraria thomsonii Benth. J. Linn. Soc., Bot. 9: 122. 1867

 

Remarks:

 

 

粉葛

 

Pueraria thomsonii Bentham, J. Linn. Soc., Bot. 9: 122. 1865 ["thomsoni"]; P. lobata subsp. thomsonii (Bentham) H. Ohashi & Tateishi; P. lobata var. thomsonii (Bentham) Maesen.

 

Calyx to 20 mm. Standard suborbicular, 16-18 mm; wings slightly shorter than keel. Legumes 10-14 cm × 10-13 mm. Fl. Sep, fr. Nov.Thickets, open forests, or cultivated. Guangdong, Guangxi, Hai-nan, Jiangxi, Sichuan, Taiwan, Xizang, Yunnan [Bhutan, India, Laos, Myanmar, Philippines, Thailand, Vietnam].

 

 

 

 

^^^^^^^^^^^^^^^^^^^^^^^^^^^^^^^^^^^^^^^^^^^^^^^^^^^^^^^^^^^^^^^^^^^^^^^^^^^

 

 

葛根

 


味甘平


 

主消渴身大热呕吐诸痹起阴气解诸毒葛谷主下利十岁已上一名鸡齐根生川谷

 


吴普葛根神农甘生太山(《御览》)。

名医一名鹿藿一名黄斤生汶山五月采根暴干

 

 

 

[本經/中經]

 

^^^^^^^^^^^^^^^^^^^^^^^^^^^^^^^^^^^^^^^^^^^^^^^^^^^^^^^^^^^^^^^^^^^^^^^^^^^

 


葛根


 

갈근(葛根)

 


 

썪불휘性平一云冷味甘無毒


 

()은 형()하고 <일운(一云) ()> ()는 감()하며 무독(無毒)하다.

 

 


主風寒頭痛解肌發表出汗開独理解酒毒止煩渴開胃下食治胸膈熱通小腸療金瘡

 


풍한두통(風寒頭痛)에 주효(主效)하며, 해기(解肌), 발표(發表)하여 출한(出汗)하여 주리(腠理)를 열어 준다. 주독(酒毒)을 해()하고 번갈(煩渴)을 멎게 하며, 개위(開胃), 하식(下食)하며, 흉격(胸膈)의 열통(熱痛)을 치()하과, 소장(小腸)을 통리(通利)하며, 금창(金瘡)을 치료(治療)한다.

 


生山中處處有之五月五日採根暴乾以入土深者爲佳本草


산에서 자라는데 곳곳에 다 있다. 오월(五月) 오일(五日)에 채근(採根)하여 폭건(暴乾) 땅속으로 깊이 들어간 것이 좋다[본초].



一名鹿藿本草


일명 녹곽(鹿藿)이라고도 한다[본초].



足陽明經行經的藥也通行足陽明之經生津止渴虛渴者非此不能除也凡病酒及渴者得之甚良亦治溫秇消渴湯液


 

족양명경(足陽眀經)에 행경(行俓)하는 약이다. 족양명경(足陽眀經)에 들어가서 진액이 생기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한다. 허해서 나는 갈증은 갈근(葛根)가 아니면 멈출 수 없다. 술로 생긴 병이나 갈증이 있는데 쓰면 아주 좋다. 또한 온학(温疟)과 소갈(消渴)도 치료한다[탕액].

 

 


生根

 

갈생근(葛生根)

 

 


破血合瘡墮胎解酒毒身熱酒黃小便赤澁

 


파혈(破血)하고 합창(合瘡), 타태(墮胎)하며, 주독(酒毒)으로 신열(身熱), 주황(酒黃)하여 소변(小便)이 적삽(赤澁)한 것을 해()한다.

 



生根搗取汁飮療消渴傷寒瘟病壯熱本草

 


 

생뿌리를 짓찧어 즙을 내어 마시면 소갈(消渴), 상한(傷寒), 온병(瘟病)으로 열이 몹시 나는 것이 내린다[본초].

 

 

 


葛穀

 

갈곡(葛穀)

 

 


主下痢十年已上穀卽是實也本草

 


 

십년(十年)년 이상 된 하리(下利)에 주효(主效)하다. 즉 실()이다.[본초].

 


 

갈엽(葛葉)

 


 

主金瘡止血婔碎付之本草


 

금창(金瘡)의 지혈(止血)에 주효(主效)하다. 짓찧어서 붙인다[본초].

 

 

 


 

갈화(葛花)

 

 


主消酒毒


 

주독(酒毒)을 소()한다.

 


葛花與小豆花等分爲末服飮酒不知醉本草

 


갈화(葛花)와 소두화(小豆花)을 등분(等分)하여 말복(末服)하면 음주(飮酒)에도 취()하지 않는다.[본초].

 

 


 

 

 

갈분(葛粉)

 


性大寒味甘無毒


 

()은 대열(大熱)하고, ()는 감()하며, 무독(無毒)하다.

 

 


止煩渴利大小便小兒熱搽本草

 


번갈(煩渴)을 지()하고 대소변(大小便)을 이()하며, 소아(小兒)의 열창(熱瘡)에 차()한다.[본초].

 


採生葛根搗爛浸水中涑出粉澄成片擘塊下沸湯中以蜜生拌食之解酒客渴甚妙入門

 


생갈근(生葛根)을 채()하면, 도란(搗爛)하여 수침(水浸)하고 주물러 앙금을 앉히면 넓적한 덩어리가 된다. 이것을 끓는 물에 풀고 생꿀을 타서 먹으면 술마신 사람의 갈증이 아주 잘 풀린다[입문].

 

 


 

[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