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4. 3. 14:58ㆍ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 단[동의보감등]
공연단(控涎丹)[완성]
控涎丹
공연단(控涎丹)
一名妙應丹治痰飮流注作痛
일명(一名) 묘응단(妙應丹)이라고도 하는데 담음(痰飮)이 유주(流注)하고 작통(作痛)하는 것을 치(治)한다.
甘遂紫大戟白芥子各等分
감수(甘遂), 자대극(紫大戟), 백개자(白芥子) 등분(等分).
右爲末糊丸梧子大望乾臨臥薑湯或溫水下七丸至十丸神效
위를 가루 내어 오자대(梧子大)크기로 호환(糊丸)을 만들어 망건(望乾)한다. 취침 전에 강탕(薑湯)이나, 온수(溫水)로 칠(七)~십환(十丸)씩을 복용(服用)하면 신효(神效)가 있다.
驚痰加朱砂爲衣痛甚加全蝎
경담(驚痰)에는 주사(朱砂)를 가(加)하여 의(衣)하고, 통(痛)이 심할 때에는 전갈(全蝎)를 가(加)한다.
酒痰加雄黃臂痛加木鱉子桂心
주담(酒痰)에는 웅황(雄黃)을 가(加)하고 비통(臂痛)에는 목별자(木鳖子), 계심(桂心)을 가(加)한다.
驚痰成塊加穿山甲鱉甲玄胡索蓬朮《河間》
경담(驚痰)으로 괴(塊)가 성(成)할 때는 천산갑(穿山甲), 현호색(玄胡索), 봉출(蓬朮)을 가(加)한다.[하간].
妙應丹
묘응단(妙應丹)
治一身牽引隱痛不可忍走易不定或疑風毒或爲矒矑或謂癰疽皆非也乃痰涎伏在心膈變爲此疾但服此藥其疾如失(方見下)
일신(一身)에 은통(隱痛)이 견인(牽引)하여 참을 수 없으며 일정한 곳이 없으며, 혹은 풍독(風毒), 혹은 위풍노(爲矒矑), 혹은 옹저(癰疽)가 모두 아니다. 담연(痰涎)이 심흉(心胸)에 복재(伏在)하여 병이다. 오직 이 약(藥)을 복용(服用)해야 그 질(疾)을 실(失)하지 않는다.(방(方)아래에 있다).
一名控涎丹《河間》
일명(一名) 공연단(控涎丹)이라고도 한다[하간].
[東醫寶鑑(동의보감)]
^^^^^^^^^^^^^^^^^^^^^^^^^^^^^^^^^^^^^^^^^^^^^^^^^^^^^^^^^^^^^^^^^^^^^^^^^^^^^
控涎丹:治痰涎滯留胸膈上下,變爲諸病。或頸項,胸背,腰脅,手足,胯髀,隱痛難忍,筋骨牽引,釣痛走易,及皮膚麻痺,似乎癱瘓,不可誤作風氣風毒及瘡疸施治。又治頭痛不可舉,或睡中流涎,或咳唾喘息。或痰迷心竅, 並宜此藥,數服痰涎自消,諸症尋愈。
控涎丹(공연단): 痰涎(담연)이 胸膈(흉격)의 上下(상하)에 머무르고 변하여 諸病(제병)이 되고 혹은 頸項(경항), 胸背(흉배), 腰脅(요협), 手足(수족), 胯髀(과비)가 참을 수 없게 隱痛(은통)하고 筋骨(근골)이 牽引(견인)하며 釣痛(조통)하고 走易(주역)하는 것과 皮膚(피부)가 痲痺(마비)되어 癱瘓(탄탄)과 비슷하게 된 것을 治(치)한다. 위의 諸症狀(제증상)은 잘못해서 風氣(풍기), 風毒(풍독) 및 瘡疸(창달)의 治療(치료)를 施行(시행)해서는 안 된다. 또한 頭痛(두통)으로 擧(거)하지 못하고 혹은 睡眠中(수면중)에 涎(연)을 흘리고, 혹은 咳唾(해타), 喘息(천식)하며 혹은 痰(담)이 心竅(심규)를 헤매는 것을 治(치)한다. 어느 병이든 이 藥(약)을 數服(수복)하면 좋아진다. 痰涎(담연)은 절로 消失(소실)하며 따라서 諸疾(제질)은 治癒(치유)된다.
紫大戟, 白甘遂、白芥子(微炒)各一兩,為末,薑汁打麵糊丸梧子大。每服七丸,或二十丸,以津液咽下。若取利,則服五六十丸。(《三因方》)
紫大戟(자대극), 白甘遂(백감수), 白芥子(백개자)를 微炒(미초)하여 各(각) 一兩(일량)을 硏末(연말)하여 薑汁(강즙)으로 만든 麵糊(면호)로 梧子(오자) 크기의 丸(환)으로 만들어 七丸(칠환) 혹은 二十丸(이십환)씩을 津液(진액)으로 嚥下(연하)한다. 利(이)를 얻고자 하면 五十(오십)~六十丸(육십환)을 服用(복용)한다.
^^^^^^^^^^^^^^^^^^^^^^^^^^^^^^^^^^^^^^^^^^^^^^^^^^^^^^^^^^^^^^^^^^^^^^^^^^^
氣虛邪實。攻擊不定。走注疼痛。
趁痛丸方
大戟(刮去皮) 甘遂 白芥子(各一兩)
上三味。搗羅爲末。用大麥面一兩和勻。醋調作餅子。慢火炙黃熟。再搗羅。用薄面糊爲丸。如梧桐子大。每服十丸。漸加至十五丸。空心用冷酒下。病甚、不入大麥面亦得。
《聖濟總錄》卷十“趁痛丸”
控涎丹
凡人忽患胸背、手腳、頸項、腰胯隱痛不可忍,連筋骨牽引釣痛,坐臥不寧,時時走易不定。俗醫不曉,謂之走注,便用風藥及針灸,皆無益;又疑是風毒結聚,欲爲癰疽,亂以藥貼,亦非也。此乃是痰涎伏在心鬲上下,變爲此疾,或令人頭痛不可舉,或神意昏倦多睡,或飲食無味,痰唾稠粘,夜間喉中如鋸聲,多流睡涎,手腳重,腿冷痹,氣脈不通,誤認爲癱瘓,亦非也。凡有此疾,但以是藥,不過數服,其疾如失。
甘遂(去心) 紫大戟(去皮) 白芥子(真者,各等分)
上爲末,煮糊丸,如梧子大,曬幹。食後臨臥淡薑湯或熟水下五七丸至十丸;如疾猛氣實,加丸數不妨,其效如神。
《三因極一病證方論》卷十三/痰飲治法
^^^^^^^^^^^^^^^^^^^^^^^^^^^^^^^^^^^^^^^^^^^^^^^^^^^^^^^^^^^^^^^^^^^^^^^^^^^
공연단(控涎丹)
별명(別名)
子龙丸(《外科垒生集》卷四)。
처방(處方)
甘遂(去心)紫大戟(去皮)白芥子(真者)各等分
제법(制法)
上为细末,煮糊为丸,如梧桐子大,晒干。
공능주치(功能主治)
공축담음(攻逐痰饮)。
治
담연내복(痰涎内伏),흉배(胸背)、수각(手脚)、경항(頸項)、요과돌연통불가인(腰胯突然痛不可忍),내련근골(内连筋骨),견인조통(牵引钓痛),좌와불저(坐卧不宁),주역불정(走易不定),或 두통불가거(頭痛不可举),혼권다수(昏倦多睡),음식무미(饮食无味),담타조점(痰唾稠粘),야간후중다유거성(夜间喉中多有锯声),及수각침중(手脚沉重),퇴랭비마(腿冷痹麻),기맥불통(气脉不通)等 。
용법용량(用法用量)
食后及临卧时用姜汤成熟水送下5~10丸。如疾猛气实,酌加用量。
【备注】本方是从《圣济总录》卷十“趁痛丸”演化而来。参见该条。
【摘录】《三因极一病证方论》卷十三
각가론술(各家論術)
《医方集解》: 此手足太阳太阴药也。十枣汤加减,行水例药亦厉剂。
李时珍曰:痰涎为物,随气升降,无处不到,入心则迷癫痫,入肺则塞窍为喘咳背冷,入肝则膈痛乾呕、寒热往来;入经络则麻痹疼痛,入筋骨则牵引钓痛,入皮肉则瘰癧癰肿,陈无择三因方并以控涎丹主之,殊有奇效;此乃治痰之本,痰之本,水也溼也,得气与火,则结为痰,大戟能泄脏腑水溼,甘遂能行经隧水溼,直达水气所结之处,以攻决为用。白芥子能散皮裏膜外痰气,唯善用者能收奇功也。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환& 단[동의보감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연단(控涎丹)의 감수 (0) | 2017.04.03 |
---|---|
공연단(控涎丹)의 대극 (0) | 2017.04.03 |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완성] (0) | 2017.04.03 |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0) | 2017.04.03 |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1] (0) | 2017.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