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3. 28. 23:36ㆍ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 단[동의보감등]
황제의 약(藥)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1]
“明永樂年間(1403.1425),明成祖朱棣爲了長保青春,降旨太醫院擬定服食駐顏專方,禦醫們經過集體討論,決定在瓊玉膏方中加入枸杞、天門冬、麥門冬三味藥,然後調制成膏,獻給皇帝,永樂皇帝服食後,效果十分顯著,於是給該方賜予了“益壽永貞”的美名”
명(明) 영락년간(永樂年間)[성조(成祖 : 1403 년 –1424 년)에 명(明)의 황제(皇帝) 성조(成祖) 주체(朱棣)는 청춘(靑春)을 오래 보존(保存)하기 위해서 미용방을 조제하여 보라고 태의원에 황명(皇命)을 내렸다. 태의원 의원들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토론한 결과 경옥고(琼玉膏)의 방중(方中)에 구기자(枸杞子),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삼미(三味) 가(加)하여 고(膏)를 조제(燥劑)하여 황제(皇帝)에게 헌상(獻上)하였다. 영락황제(永樂皇帝)는 이 약(藥)을 복용(服用)하고 많은 효과를 봤다. 그래서 영락황제(永樂皇帝)는 이 약(藥)을 “익수영정(益壽永貞)” 이라고 이름까지 하사(下賜)하였다.
本朝永樂中太醫院會議加天門冬麥門冬地骨皮各八兩進御服食賜號益壽永眞膏
영락 때에 태의원회의(太醫院會議)에서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지골피(地骨皮) 각(各) 팔량(八兩)을 가(加)하여 황제(皇帝)가 복식(服食)하고 명칭(名稱)을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라고 하사(下賜)하였다.
[동의보감(東醫寶鑑)]
琼玉膏:常服開心益智,發白返黑,齒落更生,辟穀延年。治癰癤疽勞瘵,咳嗽唾血等病,乃鐵瓮城申先生方也
경옥고(琼玉膏): 常服(상복)하면, 開心(개심), 益智(익지)하고 發白返黑(발백반흑)하며, 齒落更生(치락갱생)하고, 穀食(곡식)을 辟(피)하고, 延年(연년)한다. 癰疽(옹저), 勞瘵(노채), 咳嗽(해수), 唾血(타혈)등의 病(병)을 治(치)한다. 이것은 鐵甕城(철옹성)의 申先生(신선생) 方(방)이다.
國朝太醫院進御服食,議加天門冬、麥門冬、枸杞子末各一斤,賜名益壽永真膏。
明朝(명조)의 太醫院(태의원)에서는 皇帝(황제)의 服食進供(복식진공)의 規定(규정)에는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枸杞子末(구기자말), 各(각) 一斤(일근)을 加(가)하여 名稱(명칭)을 益壽永眞膏(익수영진고)라고 下賜(하사)하였다.
[본초강목]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환& 단[동의보감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완성] (0) | 2017.04.03 |
---|---|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0) | 2017.04.03 |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영하구기자/백복령] (0) | 2017.03.28 |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산삼/생지황] (0) | 2017.03.28 |
익수영진고(益壽永眞膏)[천문동/맥문동] (0) | 2017.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