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소단[완성]

2016. 6. 24. 21:55백두산 환&단&약이야기/환& 단[동의보감등]


還少丹

환소단(還少丹)






治下部脈微細陰浔不起

하부(下部)의 맥(脈)이 미세(微細)하고 음위(陰痿)로 불기(不起)하는 것을 치(治)한다.


熟地黃枸杞子各一兩半山藥牛膝遠志山茱萸巴戟白茯巔五味子石菖蒲肉瘴蓉楮實子杜盓茴香

숙지황(熟地黃), 구기자(枸杞子) 각(各) 일량반(一兩半), 산약(山藥), 우슬(牛膝), 원지(遠志), 산수유(山茱萸), 파극(巴戟), 백복령(白茯苓), 오미자(五味子), 석창포(石菖蒲), 육종용(肉苁蓉) 저실자(楮實子), 두충(杜仲), 회향(茴香).

右爲末蜜和

棗肉爲丸梧子大空心溫酒或鹽湯下三五十丸《集略》

위를 연말(硏末)하여 연밀(鍊蜜), 조육(棗肉)으로 오동자(梧桐子)크기의 환(丸)을 만들어 공복(空腹)에 온주(溫酒)나 염탕(鹽湯)으로 삼십(三十)~오십환(五十丸)을 복용한다.[집략].


亦有鬱火甚而致浔者非還少丹所能起當服黃栢知母淸火堅腎之藥《節齊》

울화(鬱火)가 심(甚)하여 음위(陰痿)가 생겼을 때에는 환소단(還少丹)을 쓴다고 해도 음경(陰莖)이 잘 일어서지 않는다. 그러므로 반드시 신(腎)의 약(藥)인 지모(知母)나 황백(黃柏)으로 청화(清火)하여 신(腎)을 견(堅)하게 해야 한다.[절재].


齒根動搖宜服還少丹(方見前陰)獨活散

이뿌리가 흔들리는 데는 환소단(還少丹/방(方)은 전음(前陰)에 견(見))이나 독활산(獨活散)을 쓴다.

[동의보감(東醫寶鑑)]

'백두산 환&단&약이야기 > 환& 단[동의보감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문자의 공진단  (0) 2016.07.13
강갈산(薑蝎散)   (0) 2016.06.30
환소단  (0) 2016.06.24
한련고[동의보감]  (0) 2016.06.24
침향별갑산[동의보감]  (0) 2016.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