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기당삼효소

2012. 11. 30. 16:23백두산 약술&효소이야기/효소& 고(膏)자료

 

 

 

 

 

 

 

 

 

당삼(党参)

1.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Campanumoea pilosula Franch.] 2.Codonopsis pilosula (Frach.) Nannf. Var .modesta (Nannf.) L. T.Shen 3.Codonopsis tangshen Oliv. 4.Codonopsis tubulosa Kom. 5.Codonopsis subglobosa W. W. Smith 6.Codonopsis canescens Nannf.

 

귀경(歸經)

 

귀비(歸脾);폐경(肺經)

 

 

약리작용(藥理作用)

 

1.对中枢神经系统的影响:

 

1.1.对动物学习记忆的影响:

  

1.2.对自发活动的影响:

  

1.3.党参提取物对小鼠有协同小剂量氯丙嗪的镇静作用,但拮抗大剂量氯丙嗪的中枢抑制作用。  

1.4.党参提取物对家兔脑电图的影响:

  

2.对心血管系统的作用:   

2.1.对血液流变学的作用:

 

2.2.항결양작용(抗缺氧作用):

  

2.3.对家兔和大鼠实验性急性心肌缺血影响:

 

2.4.对动物微循环障碍的影响:

 

3.对消化系统的影响:   

3.1.당삼항궤양작용:   

3.1.1.对大鼠应激型溃疡的影响:

  

3.1.2.对幽门结扎大鼠溃疡模型的保护作用:

  

3.1.3.对无水乙醇损伤大鼠胃粘膜的保护作用:

  

3.1.4.对消炎痛、阿斯匹林所致大鼠胃溃疡的影响:

  

3.2.党参及其有效成分抗胃粘膜损伤的作用机制:

  

4.对免疫机能的影响:

 

공효(功效)

건비보폐(健脾補肺)、익기생진(益氣生津)

 

 

주치(主治)

비위허약(脾胃虛弱)、식소변당(食消便溏)、사지핍력(四肢乏力)、폐허천해(肺虛喘咳)、기단자한(氣短自汗)、기미량우제증(氣微兩亏諸症)

 

각가논술(各家論術)

1.《본경봉원(本经逢原)》:清肺。上党人参,虽无甘温峻补之功,却有甘平清肺之力,亦不似沙参之性寒专泄肺气也。   

2.《본초종신(本草从新)》:补中益气,和脾胃除烦渴。

3.《강목습유(纲目拾遗)》:治肺虚,益肺气。

4.《科学的民间药草》:补血剂。适用于慢性贫血,萎黄病,白血病,腺病,佝偻病。

5.《中药材手册》:治虚劳内伤,肠胃中冷,滑泻久痢,气喘烦渴,发热自汗,妇女血崩、胎产诸病。   

6.《득배본초(得配本草)》:上党参,得黄耆实卫,配石莲止痢,君当归活血,佐枣仁补心。补肺 蜜拌蒸熟;补脾恐其气滞,加桑皮数分,或加广皮亦可。   

7.《본초정의(本草正义)》:党参力能补脾养胃,润肺生津,腱运中气,本与人参不甚相远。其尤 可贵者,则健脾运而不燥,滋胃阴而不湿,润肺而不犯寒凉,养血而不偏滋腻,鼓舞清阳, 振动中气 ,而无刚燥之弊。且较诸辽参之力量厚重,而少偏于阴柔,高丽参之气味雄壮, 而微嫌于刚烈者,尤为得中和之正,宜乎五脏交受其养,而无往不宜也。特力量较为薄弱, 不能持久,凡病后元虚,每服二、三钱,止足振动其一日之神气,则信乎和平中正之规模, 亦有不耐悠久者。然补助中州而润泽四隅,故凡古今成方之所用人参,无不可以潞党参当之 ,即凡百证治之应用人参者,亦无不可以潞党参投之。

 

 

 

선방(選方)

①清肺金,补元气,开声音,助筋力

 

党参一斤(软甜者,切片),沙参半斤(切片) ,桂圆肉四两。水煎浓汁,滴水成珠,用磁器盛贮。每用一酒杯,空心滚水冲服,冲入煎 药亦可。(《得配本草》上党参膏)

②治泻痢与产育气虚脱肛

 

党参(去芦,米炒)二钱,炙耆、白术(净炒)、肉蔻霜、茯苓 各一钱五分,怀山药(炒)二钱,升麻(蜜炙)六分,炙甘草七分。加生姜二片煎。或加制附 子五分。(《不知医必要》参耆白术汤)

 

③治服寒凉峻剂,以致损伤脾胃,口舌生疮

 

党参(焙)、黄芪(炙)各二钱,茯苓一钱,甘 草(生)五分,白芍七分。白水煎,温服。(《喉科紫珍集》参耆安胃散)

 

④治小儿口疮

 

党参一两,黄柏五钱。共为细末,吹撒患处(《青海省中医验方汇编》)

 

⑤抑制或杀灭麻风杆菌

 

党参、重楼(蚤休)、刺包头根皮(楤木根皮)各等量。将党参、重楼研成细粉;再将刺包头根皮加水适量煎煮三次,将三次煎液浓缩成一定量(能浸湿党参、 重楼细粉)的药液,加蜂蜜适量,再将重楼、党参细粉倒入捣匀作丸,每丸三钱重;亦可作成膏剂。日服三次,每次一丸,开水送服。(北京中医学院《新医疗法资料汇编》)

 

용약금기(用藥禁忌)

实证、热证禁服;正虚邪实证,不宜单独应用。

 

공효분류(功效分類)

보익약(補益藥)

 

 

성미(性味)

味甘;性平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6-15g;或 熬膏(오고)、入丸、散。生津、养血宜生用;补脾益肺宜炙用。

 

출처

《중화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황기(黃芪)

황기(黃芪, 단너삼)

 

 

너삼불휘性微溫味甘無毒主虛損羸瘦益氣長肉止寒熱療腎衰耳聾治癰疽久敗瘡排膿止痛又治小兒百病婦人崩漏帶下諸疾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허손증으로 몹시 여윈 데 쓴다. 기를 돕고 살찌게 하며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을 멎게 하고 신이 약해서 귀가 먹은 것을 치료하며 옹저를 없애고 오래된 헌데에서 고름을 빨아내며 아픈 것을 멎게 한다. 또한 어린이의 온갖 병과 붕루와 대하 등 여러 가지 부인병을 치료한다.

 

 

 

生原野處處有之二月十月採根陰乾[本草]

 

벌판과 들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음력 2월, 10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治氣虛盜汗自汗卽皮表之藥又治咯血柔脾胃是爲中州之藥又治傷寒尺脉不至補腎藏元氣爲裏藥是上中下內外三焦之藥也

 

기가 허하여 나는 식은땀[盜汗]과 저절로 나는 땀[自汗]을 멎게 하는데 이것은 피부표면에 작용하는 약이다. 또 각혈(咯血)을 멈추고 비위를 편안하게[柔] 한다는 것은 비위의 약[中州之藥]이라는 것이다. 또 상한에 척맥(尺脈)이 짚이지 않는 것을 치료하고 신기(腎氣)를 보한다는 것은 속을 치료하는 약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단너삼은 상, 중, 하, 속과 겉, 삼초의 약으로 되는 것이다.

 

 

 

入手少陽經足太陰經足少陰命門之劑[湯液]

 

수소양경과 족태음경, 족소음경의 명문에 들어가는 약[命門之劑]이다[탕액].

 

 

 

肥白人多汗者服之有功蒼黑人氣實者不可服[正傳]

희멀쑥하게 살찐 사람이 땀을 많이 흘리는 데 쓰면 효과가 있고 빛이 검푸르면서 기가 실한 사람에게는 쓰지 못한다[정전].

 

 

綿軟箭幹者佳瘡瘍生用肺虛蜜水炒下虛塩水炒用[入門]

 

솜처럼 만문하면서[軟] 화살같이 생긴 것이 좋다. 창양(瘡瘍)에는 생것으로 쓰고 폐가 허한 데는 꿀물을 축여 볶아 쓰며 하초가 허한 데는 소금물을 축여 볶아 쓴다[입문].

 

 

莖葉

 

황기경엽(黃芪莖葉, 단너삼의 줄기와 잎)

 

療渴及筋攣消癰腫疽瘡[本草]

 

갈증, 힘줄이 오그라드는 것[筋攣], 옹종과 저창(疽瘡)에 쓴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탕액편(湯液篇)초부(草部)

 

 

 

 

방약합편(方藥合編: 1885년)에서는

본초비요(本草备要: 1694년왕앙찬 )

 

黃芪甘溫收汗表 托瘡生肌虛莫少

 

황기 맛이 달고 성질은 따뜻한데

표 굳게해 땀 멈추네 새살 빨리 돋게 하고

헌데 잘 낫게 하니 허하면 많이 쓰세

 

○족태음경, 수소양경, 족소음경, 명문에 작용한다. [본초]

 

○ 표에 약기운이 가게 하려면 생것을 쓰고 허한 것을 보하려면 꿀물에 추겨 구워서 쓴다.

 

○ 하초의 병을 치료할 때는 소금물에 추려서 볶아 쓴다고 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 기가 위로 올라가면 신(腎)이 음기를 받아서 붕루와 대하가 저절로 멎는다. [비요]

 

○ 남생이등딱지, 백선피와 상오약이며 방풍과 같이 쓰면 약효가 더 좋아진다. 이것이 상오와 상사 관계를 말하는 것이다.

 

○ 여러 가지 허증을 치료하는데 기를 보하고 비를 든든하게 하며 열을 내리우고 고름을 빼며 피를 잘 돌 게 한다. 그러므로 헌데 치료에 좋은 약이다. 땀이 없으면 땀을 나게 하고 땀이 많이 나는 것은 멎게 한다. 어린이의 온갖 질병과 부인이 붕루, 대하 등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본초]

 

 

 

^^^^^^^^^^^^^^^^^^^^^^^^^^^^^^^^^^^^^^^^^^^^^^^^^^^^^^^^^^^^^^^^^^^^^^^^^^

 

본초강목(本草綱目:이시진(李時珍)선생1518~1593, 1596년간행)에서는

 

 

 

 

황기(黄耆)

【释名】黄 (《纲目》)、戴糁(《本经》)、戴椹(《别录》,又名独椹)、芰草(《别录》,又名蜀脂)、百本(《别录》)、王孙(《药性论》)。

时珍曰∶耆,长也。黄耆色黄,为补药之长,故名。今俗通作黄 。或作蓍者,非矣。

蓍,乃蓍龟之蓍,音尸。王孙与牡蒙同名异物。

【集解】

《别录》曰∶黄 ,生蜀郡山谷、白水、汉中。二月、十月采,阴干。

弘景曰∶第一出陇西洮阳,色黄白,甜美,今亦难得。次用黑水宕昌者,色白,肌理粗,新者亦甘而温补。又有蚕陵白水者,色理胜蜀中者而冷补。又有赤色者,可作膏贴。俗方多用,道家不须。

恭曰∶今出原州及华原者,最良,蜀汉不复采用。宜州、宁州者,亦佳。

颂曰∶今河东、陕西州郡多有之。根长二、三尺以来。独茎,或作丛生,枝干去地二、三寸。其叶扶疏作羊齿状,又如蒺藜苗。七月中开黄紫花。其实作荚子,长寸许。八月中采根用。其皮折之如绵,谓之绵黄 。然有数种,有白水 、赤水 、木 ,功用并同,而力不及白水 。木 ,短而理横。今人多以苜蓿根假作黄 ,折皮亦似绵,颇能乱真。但苜蓿根坚而脆,黄 至柔韧,皮微黄褐色,肉中白色,此为异耳。

承曰∶黄 本出绵上者为良,故名绵黄 ,非谓其柔韧如绵也。今《图经》所绘宪州者,地与绵上相邻也。

好古曰∶绵上,即出西沁州;白水,在陕西同州。黄 味甘,柔软如绵,能令人肥;苜蓿根,味苦而坚脆,俗呼为土黄 ,能令人瘦。用者宜审。

嘉谟曰∶绵上,沁州乡名,今有巡检司;白水、赤水二乡,俱属陇西。

时珍曰∶黄 ,叶似槐叶而微尖小,又似蒺藜叶而微阔大,青白色。开黄紫花,大如槐花。结小尖角,长寸许。根长二、三尺,以紧实如箭竿者为良。嫩苗亦可 淘茹食。其子收之,十月下种,如种菜法亦可。

【修治】

 

曰∶凡使勿用木 草,真相似,只是生时叶短并根横也。须去头上皱皮,蒸半日,擘细,于槐砧上锉用。

时珍曰∶今人但捶扁,以蜜水涂炙数次,以熟为度。亦有以盐汤润透,器盛,于汤瓶蒸熟切用者。

根 【气味】

甘,微温,无毒(《本经》)。白水者冷,补(《别录》)。

元素曰∶味甘,气温、平。气薄味浓,可升可降,阴中阳也。入手足太阴气分,又入手少阳、足少阴命门。

之才曰∶茯苓为之使,恶龟甲、白藓皮。

 

【主治】

 

痈痈久败疮,排脓止痛,大风癞疾,五痔鼠 ,补虚,小儿百病(《本经》)。

妇人子脏风邪气,逐五脏间恶血,补丈夫虚损,五劳羸瘦,止渴,腹痛泄痢,益气,利阴气(《别录》)。

主虚喘,肾衰耳聋,疗寒热,治发背,内补(甄权)。助气壮筋骨,长肉补血,破症癖,瘰 瘿赘,肠风血崩,带下赤白痢,产前后一切病,月候不匀,痰嗽,头风热毒赤目(《日华》)。

 

治虚劳自汗,补肺气,泻肺火、心火,实皮毛,益胃气,去肌热及诸经之痛(元素)。主太阴疟疾,阳维为病,苦寒热;督脉为病,逆气里急(好古)。

 

【发明】

 

弘景曰∶出陇西者,温补;出白水者,冷补。又有赤色者,可作膏,用消痈肿。

藏器曰∶虚而客热,用白水黄 ;虚而客冷,用陇西黄 。

大明曰∶黄 ,药中补益,呼为羊肉;白水 ,凉,无毒,排脓治血,及烦闷热毒骨蒸劳;赤水 ,凉,无毒,治血退热毒,余功并同;木 ,凉,无毒,治烦排脓之力,微于黄,遇阙即倍用之。

元素曰∶黄 甘温纯阳,其用有五∶补诸虚不足,一也;益元气,二也;壮脾胃,三也;去肌热,四也;排脓止痛,活血生血,内托阴疽,为疮家圣药,五也。又曰∶补五脏诸虚,治脉弦自汗,泻阴火,去虚热,无汗,则发之;有汗,则止之。

好古曰∶黄 ,治气虚盗汗,并自汗及肤痛,是皮表之药;治咯血,柔脾胃,是中州之药;治伤寒尺脉不至,补肾脏元气,是里药。乃上、中、下、内、外、三焦之药也。

杲曰∶《灵枢》云∶卫气者,所以温分肉而充皮肤,肥腠理而司开阖。黄 既补三焦,实卫气,与桂同功;特比桂甘平,不辛热为异耳。但桂则通血脉,能破血而实卫气, 则益气也。又黄 与人参、甘草三味,为除躁热肌热之圣药。脾胃一虚,肺气先绝,必用黄 温分肉,益皮毛,实腠理,不令汗出,以益元气而补三焦。

震亨曰∶黄 补元气,肥白而多汗者,为宜;若面黑形实而瘦者,服之,令人胸满,宜以三拗汤泻之。

宗 曰∶防风、黄 ,世多相须而用。唐许胤宗初仕陈为新蔡王外兵参军时,柳太后病风不能言,脉沉而口噤。胤宗曰∶既不能下药,宜汤气蒸之,药入腠理,周时可瘥。乃造黄防风汤数斛,置于床下,气如烟雾,其夕便得语也。

杲曰∶防风能制黄 ,黄 得防风其功愈大,乃相畏而相使也。

震亨曰∶人之口通乎地,鼻通乎天。口以养阴,鼻以养阳。天主清,故鼻不受有形而受无形;地主浊,故口受有形而兼乎无形。柳太后之病不言,若以有形之汤,缓不及事;今投以二物,汤气满室,则口鼻俱受。非智者通神,不可回生也。

杲曰∶小儿外物惊,宜用黄连安神丸镇心药。若脾胃寒湿,呕吐腹痛,泻痢青白,宜用益黄散药。如脾胃伏火,劳役不足之证,及服巴豆之类,胃虚而成慢惊者,用益黄、理中之药,必伤人命。当于心经中,以甘温补土之源,更于脾土中,以甘寒泻火,以酸凉补金,使金旺火衰,风木自平矣。今立黄 汤泻火补金益土,为神治之法。用炙黄 二钱,人参一钱,炙甘草五分,白芍药五分,水一大盏,煎半盏,温服。

 

 

机曰∶萧山魏直着《博爱心鉴》三卷,言小儿痘疮,惟有顺、逆、险三证。顺者为吉,不用药。逆者为凶,不必用药。惟险乃悔吝之象,当以药转危为安,宜用保元汤加减主之。

 

소산(蕭山)의 위직(魏直)에 박애심감(博爱心鉴) 삼권(三卷)의 저서(著書)가 있다. 그것에 의(依)하면 :소아(小兒)의 두창(痘疮)에는 주(主)로 순(順), 역(逆), 험(險)의 삼종(三種)의 증상(症狀)이 있다. 순(順)하는 것은 다행스럽게 경과(經過)가 좋은 것으로서 약(藥)을 용(用)할 것도 없다. 역(逆)한 것은 절망(絶望)이기 때문에 약(藥)을 용(用)해 볼 여지(餘地)도 없다. 다만 험(險)한 것만이 무척 복잡한 고려(考慮)를 해야 될 현상(現象)인 것으로서 이것은 약공(藥功)에 의지(依支)하여 위험상태(危險狀態)에서 안전(安全)한 상태(狀態)로 환원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보원탕(保元湯)에 가감(加減)을 시행(施行)한 것을 주(主)로 하여 용(用)함이 가장 적당(適當)하다.

 

此方原出东垣,治慢惊土衰火旺之法。今借而治痘,以其内固营血,外护卫气,滋助阴阳,作为脓血,其证虽异,其理则同。去白芍药,加生姜,改名曰保元汤。

 

이 방(方)은 원래 이동원(李东垣)이 창제(創制)한 만경(慢驚)의 토쇠화왕(土衰火旺)을 치(治)하는 방법(方法)을 기초(基礎)로 한 것으로서 두(痘)를 치료(治療)할 때에 이용(利用)하는 방법(方法)은, 내(內)로는 영혈(營血)을 강고(强固)하게 하고, 외(外)로는 위기(衛氣)를 보호(保護)하고, 음양(陰陽)을 자조(滋助)하며 농혈(膿血)을 작위(作爲)하게 하는 작용(作用)을 목적(目的)으로 하는 것이다. 만경(慢驚)과 두(痘)는 그 증상(症狀)에 상이(相異)함은 있으나 이론상(理論上)으로는 동일(同一)한 것이다. 이것은 황기탕(黃芪湯)에서 백작약(白灼藥)을 제거(除去)하고 생강(生姜)을 가(加)하여 보원탕(保元湯)이라 개칭(改稱)한 것이다.

 

 

炙黄 三钱,人参二钱,炙甘草一钱,生姜一片,水煎服之。险证者,初出圆晕干红少润也,浆长光泽,顶陷不起也;既出虽起惨色不明也,

 

자황기(炙黃芪) 삼전(三錢), 인삼(人参) 이전(二錢), 생강(生薑)일편(一片)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는 것이다. 위의 험(險)한 증상(症狀)하는 증상(症狀)이란, 초기(初期)두(痘)의 주위(周圍)가 원륜(圓輪)을 그리며 붉게 말라붙고, 윤(潤)이 적어지는 것이다. 발달(發達)하면서 점차 광택(光澤)이 생기고, 정점(頂點)이 낮게 파묻힌 채 나오지 못한다. 이미 나와 솟구쳐도 퇴색(退色)되어 명확(明確)하지 않다. 두창(痘疮)중(中)의 장수(漿水)가 대사(代謝)하여 회색(灰色)으로 보이며 확실(確實)하지 않다.

 

 

浆行色灰不荣也,浆定光润不消也,

 

장수(漿水)가 두(痘)(에 고정(固定)되어 빛이 나고 소산(消散) 않는 것도 있다.

 

 

浆老湿润不敛也,结痂而胃弱内虚也,痂落而口渴不食也,痂后生痈肿也,痈肿溃而敛迟也。凡有诸症,并宜此汤。

 

장(漿)이 오래되어 습윤(濕潤)하여서 아물지 않는 것도 있다. 가(痂)를 결(結)하여 위약(胃弱), 내허(內虛)되는 수도 있다. 가(痂)가 떨어지고 입이 갈(渴)하며, 식물(食物)을 섭취(攝取)하지 못할 때도 있다. 가(痂)가 생긴 뒤에 옹종(痈肿)이 생기는 것도 있다. 그 옹종(痈肿)이 궤(潰)하여 늦은 탓에 아물지 못하는 것도 있다. 이런 제증상(諸症狀)에는 탕(湯)을 용(用)한다.

 

或加芎 ,加官桂,加糯米以助之。

 

혹은 궁궁(芎藭)을 가(加)하고 관계(官桂)와 유미(糯米)를 첨가하여 그 역량(力量)을 돕는 것이 좋다“.라고 기(記)하고 있다.

 

详见本书。

 

상세(詳細)한 것은 박애심감(博爱心鉴)의 서책(書冊)을 보는 것이 좋다.

 

嘉谟曰∶人参补中,黄 实表。凡内伤脾胃,发热恶寒,吐泄怠卧,胀满痞塞,神短脉微者,当以人参为君,黄 为臣;若表虚自汗亡阳,溃疡痘疹阴疮者,当以黄 为君,人参为臣,不可执一也。

 

 

 

 

 

 

 

 

자단밀(紫椴蜜)

 

해표(解表);청열(淸熱)

 

 

자단(紫椴)

Tilia amurensis Rupr.

 

공효(功效)

해표(解表);청열(淸熱)

 

주치(主治)

감모발열(感冒發熱);구강염(口腔炎);후염(喉炎);신우신염(腎盂腎炎)

 

 

공효분류(功效分類)

해표약(解表藥);청열약(淸熱藥)

 

성미(性味)

辛;凉

 

약재기원(藥材基源)

为椴树科植物紫椴的花。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3-10g。

출처

《중화본초》

 

 

 

 

 

'백두산 약술&효소이야기 > 효소& 고(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댕댕이나무열매효소  (0) 2016.07.13
당삼, 황기/꿀(일년)  (0) 2013.08.20
산삼효소  (0) 2012.07.07
임하삼효소  (0) 2012.07.07
오미자효소  (0) 2012.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