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대(靑黛)[동의보감]
청대(靑黛)[동의보감]
마람
뿌리줄기와 뿌리로 원기둥 모양이고 대부분 구부러졌으며 가지가 많이 갈린다. 길이 10~20cm, 지름 0.1~0.5cm이다. 바깥 면은 회갈색이고 마디부분은 부풀어있다. 질은 단단하고 취약하며 절단하기 쉽다. 절단면은 평탄하지 않고 가운데는 회백색의 수부가 있거나 또는 없다. 약간의 냄새가 있고 맛은 담담하다.
출처/한약재감별도감
판람(板藍)
Baphicacanthus cusia (Nees) Bremek. 【异名】
판람(板藍)
正名:Strobilanthes cusia (Nees) J.B.Imlay
이명(异名)
Baphicacanthus cusia (Nees) Bremek.
Dipteracanthus calycinus Champion ex Bentham
Strobilanthes flaccidifolius Nees
Goldfussia cusia Nees
Strobilanthes championi T. Anderson
Ruellia indigofera Griff.
Ruellia indigotica Fortune
Strobilanthes balansae Lindau
Baphicacanthus cuaia (Nees) Bremek.
Strobilanthes cusia(Nees) J.B.Imlay
Bull. Misc. Inform. Kew 1939, 115.
Original Data:
Notes: Goldfuasia Cusia
草本,茎基部稍木质化,多分枝,高达1米。叶卵形至椭圆状矩圆形,长7-20厘米,边具浅锯齿,稀近全缘。花序穗状,通常具2-3节,每节具2朵对生的花,有时退化仅存1节,稀穗状花序再集成圆锥状;苞片叶状,长达2.5厘米,早落;花萼裂片5,条形,长1.7-2厘米,其中1片通常较长而为匙形;花冠淡紫色,长4.5-5厘米,花冠筒近中部弯曲而下部变细,里面有2行短柔毛,裂片5,几相等,长6-7毫米,顶端微凹;雄蕊2强,花丝基部有膜相连。蒴果长约2.2厘米;种子4颗,有微毛。
分布于西南、华南、台湾、福建、湖南;越南至印度也有。生林下或溪旁阴湿地。从前栽培,制作蓝色染料;根、叶药用,治腮腺炎等。
☯ 청대(青黛)
[대한민국약전(大韓民國藥典)]
☯쪽 Persicaria tinctoria H. Gross
☯마람(翸藍) Baphicacanthus cusia (Nees) Bremek.
[중국약전(中国药典)]
☯为爵床科植物 마람(馬藍) Baphicacanthus cusia(Nees)Brem.、(쥐꼬리망초과)
☯蓼科植物 요람(蓼蓝) Polygonum tinctorium Ait.
☯十字花科植物대청/숭람(菘蓝)Isatis tinctoria L.、 (십자화과)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为爵床科植物 마람(馬藍) Baphicacanthus cusia(Nees)Brem.、(쥐꼬리망초과)
☯ 蓼科植物 요람(蓼蓝) Polygonum tinctorium Ait.
☯豆科植物 목람(木藍)Indigofera tinctoria L.、
☯十字花科植物대청/숭람(菘蓝)Isatis tinctoria L.、 (십자화과)
[약학(藥學)]
☯为爵床科植物 마람(馬藍) Baphicacanthus cusia(Nees)Brem.、(쥐꼬리망초과)
☯蓼科植物 요람(蓼蓝) Polygonum tinctorium Ait.
☯十字花科植物대청/숭람(菘蓝)Isatis tinctoria L.、 (십자화과)
[중화본초(中華本草)]
☯为爵床科植物 마람(馬藍) Baphicacanthus cusia(Nees)Brem.、(쥐꼬리망초과)
☯ 蓼科植物 요람(蓼蓝) Polygonum tinctorium Ait.
☯豆科植物 목람(木藍)Indigofera tinctoria L.、
☯十字花科植物대청/숭람(菘蓝)Isatis tinctoria L.、 (십자화과)
[현대연구(現代硏究)]
☯为爵床科植物 마람(馬藍) Baphicacanthus cusia(Nees)Brem.、(쥐꼬리망초과)
☯豆科植物 목람(木藍)Indigofera tinctoria L.、
☯十字花科植物대청/숭람(菘蓝)Isatis tinctoria L.、 (십자화과)
☯草大青I. Indigotica Fort. (십자화과 대청)
☯蓼科植物 요람(蓼蓝) Polygonum tinctorium Ait. 叶中的干燥色素。
^^^^^^^^^^^^^^^^^^^^^^^^^^^^^^^^^^^^^^^^^^^^^^^^^^^^^^^^^^^^^^^^^^^^^^^
靑黛
性寒味稜無毒
성(性)은 한(寒)하고 미(味)는 함(鹹)하며 무독(無毒)하다.
主解諸藥毒天行頭痛寒熱亦治熱瘡惡種金瘡下血蛇犬等毒解小兒疳熱消瘦殺盤
제약(諸藥)의 독(毒)을 해(解)하고 천행(天行)의 두통한열(頭痛寒熱)에 주효(主效)하다. 열창(熱瘡), 악종(惡種), 금창(金瘡), 하혈(下血), 사(蛇), 견(犬) 등(等)의 독(毒)을 치(治)한다. 소아(小兒)의 감열(疳熱)을 해(解)하며, 소수(消瘦)하고 살충(殺蟲)한다.
靑黛乃藍爲之以藍造者乃入藥《本草》
청대(青黛)는 람(藍)으로 만든다. 람(藍)으로 만든 것이라야 약(藥)에 넣어 쓸 수 있다[본초].
靑黛殺惡盤物化爲水《丹心》
청대(青黛)는 악충(惡蟲)을 살(殺)하여 물이 되게 한다[단심].
治熱毒盤積疳痢除五藏鬱火而瀉肝《醫鑑》
열독(熱毒), 충적(蟲積), 감리(疳痢)를 치(治)하고 오장(五臟)의 울화(鬱火)를 제거(除去)하며간기(肝氣)를 사(瀉)한다[의감].
靑色古人用以晝眉故曰黛卽焏花也《入門》
청색(靑色)으로 고인(古人)은 눈썹을 그리는 데 썼기 때문에 대(黛)라고 한다. 즉 전화(靛花)이다[입문].
藍澱
亦堪付熱惡腫蛇紅旹毒兼解諸毒及小兒丹熱此染瓮上池沫紫碧色者功同靑黛《本草》
열이 나는 악창에 붙이며 독사에게 물려 독이 오르는 데 붙인다. 겸(兼)하여 제독(諸毒) 및 소아(小兒)의 열독(熱毒)을 해(解)한다. 이것은 쪽물을 담은 그릇 밑에 앉은 앙금인데 자벽색(紫碧色)인데 공력(功力)은 청대(青黛)와 같다[본초].
靑布
性寒味稜無毒
성(性)은 한(寒)하고 미(味)는 함(鹹)하며 무독(無毒)하다.
主解諸物毒天行熱毒小兒丹毒拄水漬取汁飮
제물(諸物)의 독(毒)을 해(解)하고 천행(天行)의 열독(熱毒), 소아(小兒)의 단독(丹毒)에 주효(主效)하다. 물에 담가 우린 물을 마신다.
燒作黑灰付惡瘡及灸瘡久不差入水不爛燒熏虎狼咬瘡出水毒此藍染靑布也《本草》
태운 재를 악창이나 구창(灸瘡)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데 붙이면 물이 들어가도 헌데가 터지지 않고 아문다. 범이나 이리에게 물린 데는 청포를 태우면서 연기를 쏘이면 진물이 나오면서 독이 빠져 나온다. 이것은 쪽물을 들인 푸른 천이다[본초].
[동의보감(東醫寶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