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산원 2022. 1. 10. 02:26

자인삼(刺人參)

 

 

 

땃두릅나무/자인삼(刺人參)

 

땃두릅나무

 

이명: 따드릅나무, 따두릅나무, 땅드릅나무, 바늘드릅나무

학명: Oplopanax elatus (Nakai) Nakai

분류군: Araliaceae(두릅나무과)

일어: チョウセンハリブキ

영문: Tall Oplopanax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길이 15-30cm로서 표면의 주맥과 뒷면 맥 위에 가시가 밀생하고 가장자리가 장상으로 5-7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잔복거치가 있으며 엽병은 길며 가시가 밀생한다.

 

 

열매

열매는 핵과로 타원상 원형이며 지름 7-12mm이고 길이 4mm의 암술대가 남으며 8-9월에 적색으로 성숙한다. 열매에 2개의 암술대가 남아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6-10개가 지름 9-13mm의 산형화서를 이루고, 화서는 다시 모여 총상으로 갈라진 분지 끝에서 8-18cm의 원추상으로 배열하며 짧은 털과 가시가 밀생한다. 꽃받침잎은 털이 없고 4개이며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5개의 톱니가 있고, 꽃잎은 긴 타원상 삼각형이며 청백색의 수술과 더불어 각 5개이고 암술대는 2개이다.

 

줄기

높이가 2-3m이고 원줄기는 갈라지지 않으며 길이 1cm의 침상 가시가 밀생하고, 소지는 회색이다.

 

뿌리

근경이 굵고 길어 2m에 이르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껍질이 두껍고 향기를 발산한다.

 

원산지

한국,만주,우수리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가 2-3m 가량 자란다.

 

문헌자료

이유미ㆍ이원열. 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도서출판생명의나무. 서울.

 

 

 

 

 

 

생육환경

공중습도가 높은 산중턱에 주목, 분비나무, 배암나무, 시닥나무 등과 같이 희귀하게 자라며, 내음성이 강하여 다른 나무 밑에서도 잘 자란다. 저지대에서는 생육이 곤란하다.

 

광선

중생

 

토양

보통

 

수분

습윤

 

/번식방법

현재까지 번식방법이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포기나누기나 근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종자채취 후에 직파하거나 노천매장을 하였다가 파종한다.

 

재배특성

 

育苗(육묘)苗頭(묘두), 實生(실생), 揷木(삽목)등으로 할수 있으나, 실용적인 방법은 묘두로 번식하는 것이 많다.

 

苗頭(묘두): 가을 또는 이른 봄 3월에 뿌리를 캐어 굵고 긴 뿌리는 약용으로 하고, 남은 묘두는 충실한 싹 2~3개를 붙게 하여 봄에는 바로 본밭에 심고, 가을에 캔 것은 일단 땅에 묻고 두었다가 봄에 심는다. 묻을 때는 너무 얕게 묻지 않도록 해야 한다.

 

實生(실생): 10월 하순쯤에 완전히 익은 종자로 채종하여 그늘에서 말려서 겨울 동안은 露天理藏(노천이장)한다. 노천매장은 양지쪽 따뜻한 곳에 깊이 60cm정도로 구덩이를 파고, 종자를 마른 모래와 섞어서 묻는다. 구덩이 속에 눈 녹인 물이나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미리부터 배수구를 설치해야 한다. 봄에 파내서 못자리에 파종한다. 못자리는 3월 하순쯤에 밑거름을 고루 뿌리고 갈아서 땅고루기를 한 다음, 120cm의 두둑을 만들고 씨앗을 줄사이 15cm의 줄뿌림을 하고 부드러운 흙을 두께 2mm로 얇게 덮고 그 위에 짚 또는 마른잎으로 덮는다.

 

揷木(삽목): 어린 순을 食用(식용)으로 하기 위한 제 1회의 수확 후 새로운 연한 줄기를 약 15cm정도로 잘라서 눈()의 끝이 당위로 나올 정도로 꺾꽂이 하면 연내에 발근 발아한다. 床面(상면)이 마르지 않도록 알맞는 관수를 해야 한다.

 

定植(정식): 본밭은 해동 후 바로 밑거름을 충분히 뿌리고 깊이 갈아서 땅고루기를 해 놓는다. 3월 하순쯤에는 묻어 두었던 묘두를 파내어 눈()2~3개 붙도록 해 쪼개어 심는다. 전년에 養成(양성)한 실생묘나 삽생묘도 이때에 같이 심어도 된다. 재식거리는 이랑나비 90cm, 그루사이 60cm로 심는다. 이렇게 심으면 10a1,800그루가 있어야 한다. 어린 순을 수확목적으로 할 때는 밀식재배로 한다. 묘두를 심을 때는 싹이 위로 되게 세워서 심고 흙을 6cm정도로 덮고 가볍게 밟아 주는 것이 좋다. 실생묘나 삽목묘를 심을 때는 묘의 뿌리상태에 알맞는 구덩이를 파고 뿌리를 넓게 펴서 심어야 한다. 너무 깊게 심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흙을 덮어 밟은 것이 못자리에서 묻혔던 깊이 정도로 한다.

 

 

 

결실기

8,9

 

 

이용방안

 

뿌리를 刺人蔘(자인삼)이라 하며 약용한다.

 

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약효 : 신경, 간경, 소장경, 방광경에 작용한다. 풍습을 없애고 아픔을 멈춘다. 해열작용. 진통작용, 진경작용, 염증없애기작용, 피응고촉진작용, 강심작용, 혈압낮춤작용등이 실험에서 밝혀졌다. 땃두름의 아줄렌 성분은 항알레르기, 염증없애기 작용을 한다. 비증, 류머티즘성 관절염, 신경통, 중풍후유증등에 쓴다.

 

용법/용량 : 하루4~12g을 달임약, 알약, 가루약, 약술형태로 먹는다.

 

중국, 國外(외국)의 연구에서 땃두릅나무의 ()刺人蔘(자인삼)은 인삼의 작용에 근사하다고 한다.

 

보호방안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

 

 

특징

고산수종이며 멸종위기에 있는 식물로 보존이 필요하다. 맹아력과 수세가 강하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학명 Oplopanax elatus (Nakai) Nakai

 

1. Echinopanax elatus Nakai

Coll. Sci. Univ. Tokyo 26: 276 (1909)

1) Fl. Reipubl. Popularis Sin. (1959-x)

 

2. Oplopanax horridus subsp. elatus (Nakai) H. Hara

J. Jap. Bot. 30: 71 (1955)

1) Lineamenta Florae Koreae (W.T.Lee, 1996)

 

문헌정보

기재문

문헌명 : Fl. Sylv. Kor. 16 : 38, pl. 2

 

참고문헌

 

국명 땃두릅나무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

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3)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1. 따두릅나무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2. 따드릅나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3. 땅드릅나무

4. 바늘드릅나무

북한명 뫼두릅

외국명 영문명

Tall Oplopanax

일본명

チョウセンハリブキ

 

 

Oplopanax elatus Nakai

Fl. Sylvat. Koreana xvi. 38 (1927).

xvi. 38 (1927) 0

Original Data:

Notes: Echinopanax elatus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가표준식물목록.IPNI

 

 

동북자인삼(东北刺人参)

 

Oplopanax elatus Nakai

 

 

이명(异名)

 

Echinopanax elatum Nakai

Echinopanax horridum aucn. non Decne et Planch.:Har

Echinopanax elatus Nakai

Oplopanax horridus subsp. elatus HARA

 

 

 

 

多刺灌木高约1稀达3小枝灰色密生针状直刺刺长约1厘米叶片薄纸质近圆形直径1530厘米掌状57浅裂裂片三角形或阔三角形上面无毛或疏生刚毛下面沿脉有短柔毛边缘有锯齿齿有短刺和刺毛侧脉和网脉两面均明显圆锥花序近顶生818厘米主轴密生短刺和刺毛伞形花序直径913毫米有花610上部者无总花梗下部者有长至2.5厘米的总花梗总花梗密生剌毛花梗长36毫米密生刺毛萼无毛边缘有5小齿花瓣5长圆状三角形雄蕊5子房2花柱2基部合生或合生至中部长约3毫米果实球形直径712毫米黄红色宿存花柱长44.5毫米花期67果期9

 

 

 

^^^^^^^^^^^^^^^^^^^^^^^^^^^^^^^^^^^^^^^^^^^^^^^^^^^^^^^^^^^^^^^^^^^^^^^^^

 

자인삼(刺人参)

 

出处】 《吉林中草药

 

 

 

래원(來源)

 

为五加科植物东北刺人参的根春季采挖晒于

 

 

원형태(原形态)

 

落叶灌木根粗大呈棒状茎直立有刺节部特别多树皮淡灰黄色叶互生掌状35基部心形边缘有锯齿和刺毛叶脉亦有刺毛花白绿色集成许多小伞形花序成总状排列在主轴上花梗密布褐色毛浆果状核果扁球形花期8果期89

 

 

생경분포(生境分布)

 

生于排水良好的腐殖质层深厚处见于针叶林带的混交林中分布吉林等地

 

 

화학성분(化学成分)

 

根含生物碱皂甙挥发油多糖尚含强心甙其他部分都含挥发油

 

 

공능(功能)주치(主治)

 

吉林中草药》:"解热镇咳"

 

 

 

용법용량(用法用量)

 

内服煎汤23

 

 

적록】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

 

 

자인삼(刺人参)

 

Oplopanax elatus Nakai[Echinopanax elatum Nakai ]

 

별명(別名)

东北刺人参

 

영문명(英文名)

Root of Tall Oplopanax

 

 

약리작용(藥理作用)

参见五加皮

 

 

약화학성분(藥化學成分)

 

根含左旋芝麻素sesamin)齐墩果酸oleanolic acid)丁香甙syringin)丁香树脂酚又葡萄糖甙syringaresinol di-O-glucoside)刺五加甙elenhteroside)ABB1CDEFG,β-谷甾醇(β-sitosterol)胡萝卜甙daucos-terin)正二十七烷醇n-heptacosanol)L鼠李糖L-rhamnose)蔗糖sucrose)及异油酸isooleic aicd)壬二酸azelaic acid)3-羟基十六烷酸3-hydroxyhexadecanoic acid)等脂肪酸


  要有茎中含按发油已鉴定有橙花叔醇nerolidol)香榧醇torreyol)布藜醇bulnesos),α-十二碳烯醛(α-dodecenal)3711-甲基-2610-十二碳三烯-1-3,7,11-trimethyl-2,6,10-dodecatrien-1-ol),ξ-γ-荜澄茄烯cadinene)愈创奥醇guaiol)柏木醇cedrol),α-β-蒎烯pinene)正辛醛n-octanal)罗勒烯ocimene)紫苏烯perillene)26-二甲基庚醛烯26-dimethyl-heptalene)龙脑borneol)已酸龙脑酯bornyl acetate)十四烷醛tetradecanal)长叶烯longifolene)金合欢醇farnesol)31个成分]


  叶含刺五加甙eleutheroside)Ⅰ、KLM最近又从中分离得到25种三萜皂甙除刺楸皂甙kalopanax saponin)G3α-羟基羽扇-2029--2328-二酸-28-O-α-吡喃鼠李糖基14-β-D-吡喃葡萄糖基16-β-D-吡喃葡萄糖甙[3α-hydroxylup-20(29)-ene-23,28-dioic acid-28-O-α-L-rhamnopyranosyl(14)-β-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ide]3-表白桦脂酸-28-O-α-L-吡喃鼠李糖基14-β-D-glucopyranoside]3-表白桦脂酸-28-O-α-L-吡喃鼠李糖基14-β-D-吡喃葡萄糖基16-β-D-吡喃葡萄糖甙[3-epibtulic acid-28-O-Αl-rhamnopyranosyl(14)-β-D-glucopyranosyl(16)-β-D-glucopyranoside]还有22种被命名为刺人参甙cirensenoside)A-V其中刺人参甙BCDIJKLMNOQTUV14种属于以齐墩果酸oleanolic acid)及其衍生物为甙无C28位连有糖链或在C3C28位连有双糖链而成的三萜皂甙刺人参甙AEFGHPRS8种属于以羽扇烯lupene)的衍生物为甙无也在C3位或C28位连有单糖甙双糖链而成的三萜皂甙

 

还含黄酮甙山柰酚-3-O-β-D-吡喃半乳糖基12-β-D-吡啧葡萄糖甙[kaempferol-3-O-β-D-glactopyronosy(12)-β-D-glucopyranoside]槲皮素-3-O-β-D吡喃半乳糖基12-β-D-吡喃葡萄糖甙[quercetin-3-O-β-D-galactopyranosyl(12)-β-D-glucopyranoside]

 

공효(功效)

보기조양(補氣助陽)지해(止咳)통락(通絡)

 

고증(考證)

出自吉林中草药》。
吉林中草药》:国外研究刺人参近似人参作用有待进一步探讨

 

과속분류(科属分类)

五加科

 

주치(主治)

 

기허체약(气虚体弱)신피핍력(神疲乏力)외한지랭(畏寒肢冷)양위(陽痿)허해구수(虚咳久嗽)풍한습비(風寒濕痺)당뇨병(糖尿病)고혈압병(高血壓病)

 

생태배경(生态环境)

生于海拔1400-1550 的针叶林针阔叶混交林落叶阔叶林带排水良好腐殖质肥沃处

 

 

각가논술(各家論術)

 

吉林中草药》:解热镇咳

 

 

채수와저장(采收和貯藏)

秋季采茎或挖取根部洗净切片晒干

 

 

식물형태(植物形態)

 

多刺藻叶灌木高约1m稀达3m根粗大而长呈棒状侧根少茎直立少分枝有刺节部刺多树皮淡灰黄色贿部大呈白色芽鳞褐色密生刺毛单叶互生叶柄长4-18cm密生针刺基部膨大抱茎叶片掌状3-58-20cm12-32cm裂片三角形或阔三角形上面无毛或疏生刚毛下面沿脉有短柔毛基部心形边缘有不整齐的锯齿或芽齿生有刺毛上面暗绿色主脉凸起疏生刺毛下面淡灰绿色沿脉密被刺毛侧脉和网脉均明显圆锥花序近顶生8-18cm主轴密生短刺和刺毛伞形花序直径9-13mm有花6-10棕黄褐色花颧5无毛边缘有5小齿花瓣5长圆状三角形白绿色雄蕊5子房下位2花柱2基部全生或合生至中部长约3mm果实为浆果状核果略呈扁球形直径7-12mm黄红色宿存花柱长4-4.5mm花期6-7果期8-9

 

 

 

공효분류(功效分類)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지해약(止咳藥)

 

 

성미(性味)

 

味甘미고(微苦)性温

 

 

약재기원(藥材基源)

 

为五加科植物刺参的根及茎

 

용법용량(用法用量)

 

내복煎汤3-15g或制为酊剂每次30-40每日2-3饭前服

 

 

출처

중화본초